18.226.177.223
18.226.177.223
close menu
KCI 등재
전통방식의 ‘옛이야기 구연 실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ase that the Old Story Played by the Traditional Way -Focused on the Activi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yed-
박현숙 ( Park Hyeon Suk )
구비문학연구 36권 1-46(4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69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누구나 이야기의 주인이 되어 이야기를 공유하며 즐기던 전통적인 이야기문화의 회복을 위한 현장 적용의 실천적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실천적 방안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옛이야기 구연 활동’ 사례를 통한 실제적 모델을 제시한다. 본 옛이야기 구연 활동은 옛이야기를 좋아하는 어린이들을 중요한 이야기 구연 활성자원으로 보고 진행되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옛이야기 구연 활동은 단계별로 ‘준비단계 → 보조 구연자 역할하기 → 구연자 역할하기 → 이야기꾼으로 성장하기’의 총 4단계로 구성하였다. 구연 활동 대상이 어린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활동 역시 수준을 고려하고 참가자들의 구연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1단계 준비단계는 옛이야기를 구연하기 위한 사전 준비과정이다. ⑴핵심서사 요약하기와 ⑵ 이야기 변형하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⑴핵심서사 요약하기 활동은 ①단어 채워 넣기 ②문장으로 요약하기 ③자기만의 기억 방법 찾아 적용하기와 같이 단계적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 활동은 참가자들이 구연자로서 이야기를 잘 구연하기 위해 이야기를 기억할 수 있는 벙법을 익히고 자신만의 방법을 찾도록 하기 위한 활동이다. ⑵ 이야기 변형하기 활동은 ①동일한 이야기장면 변형시키기 ②이야기를 자유롭게 변형시키기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옛이야기의 개방적이고 가변적인 특성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기 위한 활동이다. 2단계 보조구연자 역할하기는 청자 중심의 1단계 활동에서 구연자 역할을 경험해 나가는 과정이다. 참가자들이 주구연자의 역할을 일부 맡아서 ‘보조구연자’ 역할을 경험하고 확대해 나가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참가자 전체가 음성상징어와 같은 작은 장면 구연부터 시작하여 점차 비중있는 인물의 역할을 맡아 구연해 나가도록 하였다. 3단계 구연자 역할하기는 ⑴ 구연자 경험 역할하기와 ⑵ 구연자 역량 강화하기 단계로 구성하였다. 3단계는 참가자가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이끌어 나가는 과정이다. 즉 실제 구연자 역할을 경험하고 확대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⑴구연자 경험 역할하기 활동은 ①짧은 이야기 엮어서 하나의 이야기로 완성하기 ②여러 사람이 이어서 하나의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은 팀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다양한 구연자 역할 경험 활동이 팀별 활동으로 이루어지면 여러 사람이 하나의 이야기를 완성해야 하기 때문에 각자 맡은 파트에 대한 책임감, 앞뒤 참가자 구연에 대한 상황 판단력, 돌발 상황에 대한 문제해결력까지 경험을 통해 강화해 나갈 수 있다. ⑵ 구연자 역량 강화하기 활동은 자신이 구연할 구연종목을 선정하는 활동이다. 본 옛이야기 구연활동에서는 팀별 활동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신화, 전설, 민담 각 장르별 옛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에서 팀별 구연종목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엔 각 팀에서 자신이 맡을 파트를 정하여 구연 습을 진행하였다. 구연 연습 과정은 ‘파트 바꿔 구연하기’ ‘다른 팀 구연종목 구연해 보기’ 다른 팀과 팀원의 구연종목을 즉흥적으로 구연해 보거나 <순차형> <교차형> <혼합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되었다. 4단계 이야기꾼으로 성장하기는 옛이야기 구연활동의 마무리 단계로 지금까지의 구연 활동을 기반으로 자신 있게 구연(이야기)하기가 목표인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활동은 ①구연종목음원 제작하기 ②구연종목 발표하기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활동 결과물을 통해 구연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었고, 청중과 직접 소통하면서 구연하는 활동을 통해서 이야기 구연을 즐길 줄 아는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갔다. 옛이야기 구연 활동을 통해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①표현력, 집중력, 창의력, 즉흥적인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능력 향상이 이루어졌다. ② 팀별 활동을 통해 참가자들을 자신의 경쟁자로 인식하는 태도에서 협력자, 동반자로 인식하는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③ 참가자들이 일상에서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그림그리기, 인형극 만들기 등 다양한 놀이로 확장시켜 나감으로써 옛이야기 서사의 개방적 가변적 특성이 놀이의 개방적 가변성으로 확장되고 있다. ④ 각 가정에서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대화와 소통이 많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야기문화 회복의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옛이야기 구연 활동이 일상화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활동이 1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고에서 제시한 옛이야기 구연방법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객관성 확보가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practical ways for a field application and to restore traditional story culture that everyone was the owner of the story to share and enjoy. So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al model for practical ways through the case of activi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yed an old story. This activity of playing the old story regard children like the old story as important active source of the playing the story. The activity of playing the old story aimed at children was composed of four steps : Ready to step → Doing the role of second narrator → Doing the role of narrator → Growing to storyteller This paper also consider the level of each activity,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playing activity for the old story, and are building up stage by stage to reduce participant's psychological burdens due to playing an old story. Step 1 'Ready to step' is preparation process for playing the old story. This step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⑴ To summarize the key narrative, ⑵ To transform the story of the activity. Activity ⑴ 'To summarize the key narrative' was performed like this processes : ① Filling the words, ② Summarizing by the sentence and ③ Applying to find their own way to remember. This activity for the participants as a narrator can remember the story and learn how to find your own methods to playing the old story. Activity ⑵ 'To transform the story of the activity'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① Transforming the scene of same story, ② Transforming the story freely. It is an activity that narrator to acquire activities open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old story naturally. Step 2 'Doing the role of second narrator' i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role of narrator in first step of the center of the listener. It is a step that participants attended to some role of main narrator and experience the role of 'second narrator'. This is a narrated step that the whole participants starts with from small scene like symbolic words as a voice and assume a weighty role gradually. Step 3 'Doing the role of narrator'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⑴ To experience the role of narrator, ⑵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narrator. This step is a leading process that the participant leads the story. That means, this step i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nd expanding the real role of the narrator. Activity ⑴ 'To experience the role of narrator' was composed of two process : ① To complete one story with a combination of a short story, ② To complete one story with several people. This activity can be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for each task undertaken, the situation judgment about before and after the other participant's play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unexpected situations. Because it is to complete one story with several people as team activities. Activity ⑵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narrator' is an activity that participants is to select events by themselves. Participants can experience a each genre of the old story such as myths, legends, folk tales because it can be selected to event from each team. Next, each team decided part of their members and practiced playing an old story. The process of practice is to playing other teams and team members's events extemporaneously or can be conducted with playing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 sequential >, < cross-type > and < mixed >. Step 4 'Growing to storyteller' is the final stage of the playing activity of the old story and is compose of two process : ① To produce a sound events of playing the old story, ② To present the events of playing the old story. Participants has the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about to play the old story with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and grow as storytellers who can enjoy story through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audie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the activity of playing the old story. ① Various skills have been improved : expression, concentr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 ② Participants were recognized that other participants is competitor instead of partner through team activities. ③ The narration of the old story's open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is expanding at participants's everyday play again through their play such as painting and making puppet based on the old story. ④ Recovery possibility of stories culture was discovered through a dialogue and communication about the activities of playing the old story in each participants's home. The activities of playing the old story is to be a part of daily life, this activities should be continued. Also, to use actually ways played of the old story is an urgent need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all.

1. 머리말
2. 옛이야기 구연 활동 개요
3. 옛이야기 구연의 실제
4. 맺음말;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