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36.141
3.144.36.141
close menu
KCI 등재
동아시아의 돌 신화와 여신 서사의 변형 - 모석(母石)·기자석(祈子石)·망부석(望夫石)을 중심으로 -
A Stone Myth and Variations of Goddess Narratives in East Asia
조현설 ( Cho Hyun Soul )
구비문학연구 36권 119-150(32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72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엘리아데는 돌에서 생명을 표현하는 원형적 이미지를 발견했다. 그러나 돌 신화는 원형을 넘어 다양한 변형체를 통해 특정한 사회 형태를 표현하고 고착화하려고 하는 이데올로 기적 언어의 한 형태이다. 동아시아 돌 신화에서 돌은 모석으로 인식되어 왔는데, 이는 모계사회의 소산이다. 이 인식은 돌에서 인류나 특정 종족이 비롯되었다는 기원신화를 통해 표현된다. 이때 여신은 모석과 동일시되어 돌의 형태로만 등장하기도 하고, 분리되어 여신-돌이라는 이원적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부계사회에서 돌은 남성적 원리를 상징하는 남근석으로 변형되어 조상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이런 돌 신화와 사회의 관계에서 보면 부여계 건국신화의 신화소인 돌 위에 앉은 유화나 곤연의 바위 아래에서 출현한 금와의 형상, 그리고 제주도의 당신화인 와산리 불돗당의 돌 위에 내려온 여신 불또삼승또의 형상은 모석 신화가 제의의 조건이나 신화의 형태에 따라 변이되어 표현된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유화와 불또삼승또의 신화가 여신-돌(모석)의 형식이라면 금와 신화는 돌(모석)의 형식이다. 그런데 모석은 남성지배의 강화와 더불어 기자석으로 변형된다. 동시에 아이를 업고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돌, 망부석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모석의 서사에는 생명의 근원이라는 원형적 이미지만이 아니라 창세신화와 여신 서사의 역사적 변모의 정황이 동시에 새겨져 있다.

Mircea Eliade discovered the archetypical image that expresses absolute being, life and sacredness in the stone. But a stone myth is one form of the ideological language that expresses a certain social form through various mythical narratives. The stone in east asian myth became accepted as sacred mother stone. This is the product of a matrilineal society. Original myth of human being or a certain tribe was originated from the stone expresses that kind of understanding. At that time, the goddess appeared in a stone form which identified with ‘a mother stone’ in some cases, but in other cases the goddess appear in ‘a stone & goddess’ form discretely. However, the stone which transformed into the phallus stone was worshipped as ancestral god in a patrilineal society. And This stone transformed into kija-stone, that is a stone praying son in conjunction with male dominance. At the same time this stone transformed into mangbu-stone, that is the stone on which a faithful wife stood waiting for her husband until she perished.

1. 돌의 원형성과 이데올로기
2. 동아시아의 모석 신화들
3. 모석 신화의 변형과 의미의 확산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