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222.47
18.221.222.47
close menu
KCI 등재
설화에 나타난 실존 인물의 의미화와 전승주체의 의식 - 김제 정평구 설화를 대상으로
Signification of Existing Persons in Folktales and Transmitters’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Gimje Jeong Pyeong-gu Folktale
한정훈 ( Han Jeong Hun )
구비문학연구 36권 151-193(4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73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정평구 설화는 조선 후기와 근대에 형성됐던 건달형 인물전설의 유형에 포함된다. 하지만 보편적인 건달형 인물과 정평구의 생존 시기는 상당히 큰 격차를 보인다. 정평구는 비공식적 담론에서 임진왜란 당시 비차를 개발한 인물로 이야기된다. 정평구는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신문에서 비차를 개발한 민족의 문화영웅으로 언급되었다. 반면 전북 김제를 중심으로 전승된 이야기에서 정평구는 거짓말과 사기를 잘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지역에서 전승되는 이야기 속에는 문화영웅으로서 정평구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김제 지역의 유학자 유재 송기면은 「정평구전」을 저술하였다. 「정평구전」을 통해서 당시 지역에서 전승된 정평구 설화의 실체를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유재 송기면은 「정평구전」에서 거짓말과 사기를 일삼는 정평구를 시대와 접속하지 못한 비운의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구비 전승되는 설화에서 정평구는 건달형 인물이 지닌 특질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거짓말과 사기, 정주성을 탈피한 이주성을 강하게 지닌 정평구는 어긋난 행위를 통해서 세상과 갈등을 빚고, 웃음과 해학으로 세상을 유린하기도 한다. 또한 정평구는 다른 지역의 건달형 인물전설을 흡수하여 자기의 이야기로 만들기까지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정평구 설화를 보편적인 건달형 인물전설이 지닌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가 전승되는 지역의 특이성과 맥락을 지어서 의미를 분석했다. 이야기 전승주체는 정평구에게 문화영웅이나 민중적 영웅, 이인으로서 모습을 요구하지 않았다. 과거부터 지닌 지역의 특이성에서 이야기 전승주체는 자신의 결핍을 수용하면서 세계와 대면하고, 그 과정에서 승리할 수 있는 건달형 인물로서 정평구를 원했다. 이야기 속에서 정평구가 세계를 변혁하지는 못하지만, 전승주체는 문학적 유희를 통해서 자신의 결핍을 충족하고 모순을 잠재한 세상을 인식했던 것이다.

The Jeong Pyeong-gu folktale is included in the type of legend of a scamp-like person, which were formed in the late Joseon and early modern period.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 universal scamp-like person and Jeong Pyeong-gu in their life days. Jeong Pyeong is said in informal discourses to be a person who developed Bicha ‘flying car’ at the time of the Korea-Japan War. He was referred to by some newspapers publish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ational cultural hero who developed Bicha. On the other hand, a story transmitted in areas around Gimje, Jeonbuk, he is depicted as a character who is accustomed with lying and cheating. We cannot see the cultural hero Jeong Pyeong-gu in stories transmitted in local are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Yujae Song Gi-myeon, a Confucian scholar in the Gimje area, authored Jeong Pyeong-gu Jeon ‘The Story of Jeong Pyeong-gu.’ From Jeong Pyeong-gu Jeon, we can conjecture the substantial aspects of the Jeong Pyeong-gu folktale, though just a little, which was transmitted in the area at that time. In Jeong Pyeong-gu Jeon, Yujae Song Gi-myeon depicted him as an unfortunate character who was not able to contact with the times though he was well accustomed with lying and cheating. In orally transmitted folktales, Jeong Pyeong-gu strongly shows features of a scamp-like person. Jeong Pyeong-gu, a person of lying and cheating who strongly has migratory nature rather than sedentariness, makes trouble for the world with his abnormal behavior, and infringes the world with his laughter and humor. Also, he absorbs legends of scamp-like people from other areas to make them his stories. However, this paper does not interpret the Jeong Pyeong-gu folktale in the sense of a universal legend of a scamp-like person, but does analyze its meanings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ness of the areas where the tale has been transmitted. The story transmitter does not require Jeong Pyeong-gu to be a cultural or popular hero, or a superman. Admitting his or her own deficit, the story transmitter faces the world, and through the course, wants Jeong Pyeong-gu as a scamp-like person who can take the victory. Though Jeong Pyeong-gu cannot reform the world in the folktale, the transmitter meets his or her own deficit and recognized a potentially contradictory world through literary play.

1. 머리말
2. 인물 담론과 주조된 형상
3. 설화의 전승과 선택된 인물상
4. 설화 속 인물에 투영된 전승주체의 의식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