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4.171
3.17.154.171
close menu
KCI 등재
‘첫날밤 목 잘린 신랑과 누명 쓴 신부’ 유형 설화에 나타난 갈등 구조와 전승 체계
Conflict Structure Displayed in the Concrete Folktales ‘Groom with His Throat Cut on Wedding Night and Falsely Accused Bride’ and Transmission Systems
한유진 ( Han Yu Jin )
구비문학연구 37권 147-178(32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80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첫날밤 목 잘린 신랑과 누명 쓴 신부’ 유형 설화는 사회에서 부여한 질서에 벗어난 계모의 욕망이 한 가정을 해체에 이르게 한 서사이다. 이 유형 설화는 다른 유형의 계모설화와 달리 전실아들의 죽음이 가계 단절로 이어져 가부장제의 위기가 표면화된 설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계모의 전실아들 살해는 자기소생에게 계승권을 넘겨주고자 하는 욕망에서 기인된 것으로 기존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것이기에 절대 용납될 수 없는 욕망이다.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계모의 욕망이 ‘악’으로 규정되며,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제거된다. 이 유형 설화에서는 전실아들의 죽음에 대한 처벌 행위가 계모뿐만 아니라 계모아들에게까지 확대된다. 계모아들은 가계 계승자의 자격을 갖춘 존재로 전실아들의 죽음에 윤리적 혐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에 의하여 제거되는데, 이는 전실아들의 부재를 가계의 단절과 동일시하는 시선이 반영된 결과이다. ‘전실’ 아들만을 계승자로 인식하는 시선의 주체는 전실이며, 텍스트 밖으로 확대하면 계모의 지위에 놓여있지 않은 여성 전반이 그 대상이 된다. 이들은 자신의 존재가 부재할 때 자기소생에게 가해질지도 모를 위협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계모의 존재를 더욱 극악하게 변모시키고, 체제의 질서에 위협적인 존재로 이끌어냄으로써 계모의 욕망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에 대하여 계모설화 전승을 통해 반복하여 상기시킨다. 전실아들을 살해한 계모 징치는 가계 계승권을 사이에 둔 전실과 후실의 갈등에서 전실의 욕망이 승리한 결과이다. 계모와 전실의 공존할 수 없는 욕망이 충돌했을 때, 전실의 욕망을 승리로 이끈 것은 가부장제 질서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 존재이다. 여성들은 ‘장자 계승 원칙’의 명분 아래 계모의 욕망으로부터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자 했으며, 사회 유지를 위하여 체제의 질서는 보존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소수자인 계모의 욕망을 ‘악’으로 규정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주장은 가부장제와 합의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계모설화는 소수자 계모에 대한 거리두기를 시도하고, ‘다름’을 선언하는 다수자의 목소리로, 기존 질서를 온전히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능한다.

The concrete folktales ‘Groom with his throat cut on wedding night and falsely accused bride’ are stories which described a stepmother's desire, which is deviant out of the order given by the society, leads a family to dissolution. This concrete folktales draws attention in the point that the crisis of patriarchy was risen to the surface by the death of the former wife's son which was connected to the discontinuity of family, different from other concrete stepmother folktales. Stepmother's murder of the former wife's son was caused by the desire to hand over succession to her child, which desire can never allowed, since that threatens the existing social order. At this point, stepmother's desire is defined as an ‘evil’, which will be inevitably eliminated to maintain social order. In the concrete folktales, the punishment act is extended to the stepmother's son, not only stepmother, for the death of the former wife's son. Stepmother's son is a man who has the right as a successor of the family and he has no ethical suspicion on the death of the former wife's son, nevertheless, he is eliminated by patriarchy, this is the result that reflects the view which identifies the absence of the former wife's son with the discontinuity of family. The former wife is the subject of the view that acknowledges only ‘the former wife's’ son as the successor, when we extend it to the outside of the text, the whole women who are not in the position of stepmother become the subjects. They transform the existence of stepmother to be more evil to resolve the anxiety about the threat that might be inflicted on their children when they are absent, to repeatedly remind how dangerous stepmother's desire is by drawing a stepmother as a threatening existence in the order of social system through the transmission of stepmother folktales. Castigation of the stepmother who murdered the former wife's son, is a result that the former wife's desire wins in the conflict between the former wife and the second wife for family succession. When the desire of the stepmother and the former wife conflicts, which cannot coexists, the object that led the former wife's desire to the victory was the existence of woman who live in the order of patriarchy. Women tried to protect their right from stepmothers' desire under the justific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eldest son's succession’, so that the women's insistence that tried to define stepmothers' desire, who were in the minority, as the ‘evil’, in the aspect that the order of system must be protected to maintain the society, could build an agreement with patriarchy. Stepmother folktales functions as a strategy to entirely maintain the existing order, which attempts to keep a distance from the minority stepmothers and the majority's voice that declares ‘difference’.

1. 서론
2. 유형 설화의 자료개관과 각편별 특징
3. 유형 설화에 나타난 위기의 원인과 해결 방식
4. 유형 설화의 전승 주체와 전승 원리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