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87.199
18.226.187.199
close menu
KCI 등재
동안해대안 별남신대굿 과별의신 굿비의교 를특 중징심 연으구로 -
A study of Characteristic of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in South Korea
김형근 ( Kim Hyung Kun )
구비문학연구 37권 287-332(4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84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고는 동해안 남대 지역, 즉 울산, 부산 지역 별신굿의 특징을 밝히는 글이다. 강원도 고성에서 경상남도 부산까지의 동해안에서 행해지는 굿을 통칭 ‘동해안굿’이라 부른다. 그런데 동해안굿도 그 세부 지역에 따라 지역적 차별화가 있다. 특히 가장 차별화 되던 곳이 동해안 남부인 울산과 부산이었다. 이곳을 흔히 동해안 무당들은 ‘남대’라고 부른다. 하지만 전승자들의 교체로 인하여 여러 변화들이 있어왔다. 그럼에도 별신굿의 굿거리들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행해지고 있고, 그 양상이 동해안 북부나 중부와 차별화되어 있다. 동해안 남대 별신굿은 굿거리와 굿의 구조화 차원에서 중북부와 큰 차이를 보인다. 첫번째 굿거리의 특징으로 중북부에 없는 굿거리들이 많다. 가망굿, 제석굿, 부인굿, 황제굿, 대왕굿, 대신굿, 선생굿 등이 그것이다. 그간의 선행 연구들이 중북부에 집중되면서 남대에 해당되는 지역의 무가에 대한 채록 및 연구들이 부족했다. 그러면서 이들 굿의 의미가 제대로 탐색되지 않아 본고에서는 남대 별신굿만의 굿거리 의미를 탐색하고 있다.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두 번째 특징은 굿의 구조화 특징이다. 안대에서는 없는 안굿과 밖굿 개념이 남대에는 존재한다. 전체의 굿을 내당굿과 외당굿으로 나누어 겹굿으로 구성한다. 무엇을 기준으로 내당과 외당으로 나누는지, 각각에 어떤 굿들이 배당되는지 그 양상을 살피도록 한다. 기록되지 않은 채 오랜 기간 흐르다 보면 현재 행해지고 있는 것이 전부로 오해받곤 한다. 본고는 동해안 남대의 지역적 독자성을 밝힘으로써, 동해안의 세부 지역유형 연구에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mainly about the oicotype. The Gut that is performed in the east coast from Goseong, Gangwon-do to Busan, Gyeongsangnam-do is generally referred to as ‘East Coast-Gut’. Among the Guts of that region, a village Gut named ByeolsinGut i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However, East Coast-Gut differs by reg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The place where it is more particularly differentiated is the southern area of the east coast like Ulsan and Busan. The east coast shamans often call it as ‘Namdae (南帶, south area)’. With the replacement of transmitters, however,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so far. Yet, the Gutgeori of ByeolsinGut has not been changed but is being conducted as it was, and the aspects of i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the northern or central area of the east coast.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has two great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northern-central area. First, it secures a lot of Gutgeori which the northern-central area does not have. It includes GamangGut, JeseokGut, BuinGut, HwangjeGut, DaewangGut, DaesinGut, or SeonsaengGut. Because advanced researches only focused on the northern-central area and hardly explored the meaning of those Gut, this article looks into the meaning of Gutgeori which only Namdae ByeolsinGut ha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can be found in the structuralization of Gut. It consists of GyeopGut (double Gut) including NaedangGut and OedangGut.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criteria to distinguish Naedang from Oedang and also the aspects of how any Gut is classified into each of those.

1. 들어가며
2.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굿거리 특징
3.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구조화 특징
4. 나오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