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101.41
3.23.101.41
close menu
KCI 등재
<장자못 전설>의 전파력 연구 -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propagation power of < the Legend of Jangja Pond > -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folk tale, < sinking village when the eyes of the stone image of Buddha turn red > -
김혜정 ( Kim Hae-jyung )
구비문학연구 28권 273-299(27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322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고에서는 <장자못 전설>과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를 비교함으로써, 비슷한 서사구조를 가지고도 앞의 것은 전국적으로 전승된 반면에, 뒤의 것은 일부 지역 전설로 그친 원인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의 화소(금기)만으로 이 전설을 이해하고자 했던 선행연구들에서 벗어나, <장자못 전설>이 가지고 있는 모든 화소(motif)의 의미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교 결과 두 설화는 악행을 일삼는 인물에 대한 懲惡의 의미로 그가 속한 마을이 호수로 변하는 ‘함호(陷湖) 전설’이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여러 화소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차이점들이 전파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에서는 ‘금기’화소가 등장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노파는 ‘神’에게서 받은 ‘예언’을 모든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써 끝없이 넓은 善함을 베푼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그 어느 누구도 그의 말을 믿지 않으며, 결국에는 노파 혼자만이 살아남는다. 이처럼 그는 ‘神’의 세계에 편입되는 기쁨을 맛보았을지 모르지만 사람(설화의 話者)들에게 그다지 깊은 인상을 심어주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장자못전설>에서는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금기’화소가 등장한다. 이것은 며느리에게 ‘시아버지, 남편, 자식을 포함한 가족’을 버리고 ‘神’의 세계로 들어올 수 있는 마지막 테스트였던 것이다. 그러나 결국 며느리는 가족에 대한 미안함으로 혼자 ‘신’의 세계로 편입되는 것을 포기하고 ‘뒤를 돌아봄’으로써 ‘돌’이 되고 만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서낭신’으로 모셔지기도 하는 등 큰 문학적 공감대를 이끌어 내며 전국적으로 전파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두 설화는 인물 화소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장자못 전설>에서는 ‘시아버지와 며느리라는 가족관계’로 설정된 반면에,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에서는 ‘노파와 마을청년들이라는 이웃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길흉화복’을 모두 공유하는 ‘공생(共生)관계’이냐, ‘행복’만 함께 할 수 있는 관계이냐에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유교 사회에서 ‘가족’의 울타리를 중시하던 우리 민족에게 앞의 인물 관계가 더 매력적 화소(motif)로 받아들여졌음은 자명한 일이다. 셋째, 주인공들의 上下관계에 轉位가 일어나느냐 일어나지 않느냐에 차이가 있다. <장자못 전설>에서는 종국(終局)에 기존의 세계(시아버지-上)와 새로운 세계(며느리-下)의 관계를 완전히 바꾸어 버림(轉位)으로써, 비록 며느리가 현시점에서는 다다르지 못했지만 언젠가는 새로운 세계로 편입할 수 있다는 희망을 남겨놓았다. 반면에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인물 上下관계에 변화가 없어, 현실의 암울함을 해소할 그 어떠한 희망도 발견할 수 없다. 즉 이러한 이유로 新世界로의 편입에 희망이 남아있는 <장자못 전설>이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보다 더 큰 문학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전국적으로 구전될 수 있었던 것이다.

By comparing < the legend of Jangja pond > with the folk tale, < sinking village when the eyes of the stone image of Buddha turn red >,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 why the latter was limited to the legend of some areas, while the former was transmitted across the nation with the similar narrative structure. For this, we attempted to analyze the meaning of all motifs which < the legend of Jangja pond > has, getting out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to understand this legend only with one motif(taboo). As a result of comparison, it was found they were different in many motifs although both folk tal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the 'sinking pond legend'(which is the legend about the origin of a pond) that their villages turn into ponds as the meaning to punish evil of characters who do nothing but doing evil conduct.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ses differences have a great effect on transmission power.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motif of 'taboo' does not appear in the folk tale of < sinking village when the eyes of the stone image of Buddha turn red >. By this, an old woman bestows endlessly broad good by sharing ‘a prophecy from the God’ with everyone. However, any village people do not believe her words, and in the end, only she survives. As mentioned above, she might feel the pleasure to join the world of ‘God’ but did not give an deep impression on people(narrator of the folk tale). On the contrary, in < the legend of Jangja pond > a taboo motif 'not to look back' appears. This was the final test for a daughter-in-law to enter the world of God' abandoning 'her family including her father-in-law, husband and children'. However, in the long run, the daughter-in-law gives up joining the world of 'God' alone feeling sorry to her family and 'turning her head' to become 'a stone'. However, this gave a deep impression on people and she was worshiped as ‘a tutelary deity’(the god of Sonang), and winning great literary sympathy, it could be transmitted across the nation. Second, both folk tales are different also in the motif of characters. While in < the legend of Jangja pond >, ‘family relations of a father-in-law and a daughter-in-law' are set up, 'neighbor relations of a grandmother and village young people' are set up in the folk tale of < sinking village when the eyes of the stone image of Buddha turn red >. This makes differences whether they are in symbiosis relationships to share ‘fortune and misfortune’ or they are in the relationships to share only ‘happiness'. It is clear that our nation who valued the shelter of 'family' in Confucian society considered human relations of the former as more attractive motif. Third,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ransposition occurs or does not occur in the heroes or heroines' hierarchy. Although the daughter-in-law did not reach it at this point of time, the hope was preserved to join the new world someday by completely changing(transposition) the existing world(the father-in-law-upper side) and the new world(the daughter-in-law-lower side)and in < the legend of Jangja pond >. On the contrary, no hope can be found to remove darkness of the reality as there's no change in the hierarchy of character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the folk tale of < sinking village when the eyes of the stone image of Buddha turn red >. Namely, for this reason, < the legend of Jangja pond > in which the hope remains to join the new world could be handed down orally nationwide building still greater literary sympathy than the flak tale, < sinking village when the eyes of the stone image of Buddha turn red >.

1. 서론
2. <장자못 전설> 화소 분석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와의 비교연구
3.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