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20.133
18.222.120.133
close menu
KCI 등재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Two Views on 'Letting in a New Family Member' in Folktales - A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and 'Picking up Son-in-law' folktales -
박현숙 ( Park Hyeon Suk )
구비문학연구 30권 1-36(3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337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쌀 서 말로 석 달 산 며느리 고르기》설화를 중심으로 한 <며느리 고르기> 설화와《거짓말 세 마디로 사위 고르기》설화를 중심으로 한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를 통해 설화에 반영된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두 시선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며느리 고르기>설화와 <사위 고르기>설화에서 새식구의 자격 조건, 재능시험 목적, 새식구 고르기에 임하는 결정권자의 자세 등의 차이를 먼저 살핀 뒤, 두 설화에 나타난 가족관계망 속에서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성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더 나아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코드가 두 설화의 갈래적 차이를 형성하는 작동기제임을 입증하였다. 두 설화에서 며느리 고르기 목적엔 아들과 가문이 중심에 놓여 있다. 며느리 고르기의 결정권자는 며느릿감 재능시험 전과정에 거쳐 적극적이고 신중한 태도를 취한다. 그러나 사위 고르기의 목적엔 결정권자의 사적 욕망이 중심에 놓여있다. 사위 고르기 설화에서 딸은 아버지의 사적 욕망의 수단이 된다. 따라서 사위 고르기의 결정권자는 순간적이고 즉흥적으로 사윗감의 재능시험 과정을 즐기고 있을 뿐 정작 취재(取才) 성공에는 방관적 태도를 취한다. 이처럼 며느리와 사위 고르기 설화에서 새식구의 재능을 시험하여 고르려는 목적과 결정권자의 자세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가족관계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 코드가 발현된 결과라 하겠다.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인식코드는 가족관계망 속에서 가문에서의 지위와 역할, 책임감의 유무, 경중(輕重)에 따라 여성(딸), 남성(아들), 외인, 내인이라는 4가지의 핵심 키워드로 발현된다. <며느리 고르기>설화는 대체로 가문을 상징하는 남성(아들)(+), 내인(內人)(+)의 키워드가 작동하여 진지한 서사를 지닌 본격담(本格譚)과 연결된다. 그에 비해 <사위 고르기>설화는 대체로 가문과 아들이 배제된 채 여성(딸)(+), 외인(外人)(+)의 키워드가 작동하여 부담없이 웃음을 즐기는 서사를 지닌 소화(笑話)와 연결된다. 그러나 <사위 고르기>류의 설화에서 사위를 구하는 목적이 가문과 아들을 대신할 남성(아들)(+), 내인(內人)(+)을 얻기 위함에 있다면 이는 진지한 서사를 지닌 본격담(本格譚)과 연결된다. 이처럼 한 집안의 아들이자 사위이고, 딸이자 며느리인 복합적 가족관계망 속에 존재하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코드가 <며느리 고르기>설화는 본격담(本格譚), <사위 고르기>설화는 소화(笑話)라는 갈래적 차이를 형성하는 중요한 작동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views on ‘daughter-in-law’ and ‘son-in-law’ reflected in tal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centering around Picking up Daughter-in-law Living Three Months with Three Mal of Rice tale with ‘Picking up Son-in-Law’ tale centering around Picking up Son-in-law by Listening Three Stories of Lie tale. First, it examined differences in the qualifications of a new family member, the purpose of talent test, decision-makers'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picking up a new family member i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and ‘Picking u p S on-in-law’ t ale and p rove d that the diffe rence of r e cognition between ‘daughter-in-law’ and ‘son-in-law’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 recognition of male and female in family relationship shown in the two tales. Furthe r,itprove d that the perce ption c ode for male and female is the operation mechanism forming the differences of the two tales. Son and family are at the center of the purpose of picking up daughter-in-law in the two tales. The decision-maker of picking up daughter-in-law takes active and serious attitude throughout all process of testing talent of daughter-in-law candidates. However private desire of decision-maker is at the center of the purpose of picking up son-in-law. In ‘Picking up Son-in-law’ tale, daughter becomes a means of father's private desire. Thus, the decision-maker of picking up son-in-law only enjoys the process of talent test of son-in-law candidates instantly and impromptu, but takes attitude of a looker-on in the success of picking up talent. Like this, i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and ‘Picking up Son-in-law’ tale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purpose of testing talent of a new family member and decision-maker's attitude can be the result of revelation of perception code for male and female in family relationship. Perception codes for ‘daughter-in-law’ and ‘son-in-law’ are revealed as four key words of woman(daughter), man(son), outsider and insid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roles in the family, whether they have responsibility or not, and the weight of it in family relationship. Usually the key words, man(son)(+) and insider(+) symbolizing the family operate i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s, connected with ordinary folk-tales with serious narrative. In contrast, ‘Picking up Son-in-law’ tales usually excluding the family and son, the key words, woman(daughter)(+), outsider(+) operate, connected with jokes without serious thinking. However, if the purpose of finding a son-in-law is to get man(son)(+) or insider(+) who replace the family and son in ‘Picking up Son-in-law’ tales, this is connected with ordinary folk-tale with serious narrative. Like this, it is confirmed that perception codes for woman and man existing in complicated family relationship in which a son is also a son-in-law and a daughter is also a daughter-in-law serve as operating mechanism forming the categoric difference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as ordinary folk-tale and ‘Picking-up Son-in-law’ tale as funny story.

1. 머리말
2.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 비교
3. ‘새식구 들이기’의 인식 층위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