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8.50
3.144.28.50
close menu
KCI 등재
‘아이지혜담’에 나타난 부자간의 관계와 그 의미 ―넘어섬과 감싸 안기―
The Meanings of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in the Narrative of the Children's Wisdom, -overcoming and embracing-
이성희 ( Lee Sung Hee )
구비문학연구 30권 37-65(29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338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아이지혜담’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긴장 관계가 드러나는 이야기들은 주로 ‘집안형’에서 발견된다. 여기서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긴장이 ‘아버지가 해결하지 못하는 난제를 아들이 해결하다’라는 문제로 압축되어 표현되는데, 아버지 대신 집안 문제 해결하기, 아버지의 실수 만회하기, 아버지 잘못 바로 잡기, 아버지 도와주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아이가 아버지의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에서는 먼저, 가부장적 질서 하에서 절대 권력자이어야 하는 아버지의 모순이 드러난다. 아버지의 한계가 드러나는 이야기들은 결국 ‘아버지 부재의 문제’로 귀결되는데, 아들은 지혜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지식이 아닌 지혜는 직관적 능력이면서, ‘통념과 상식을 뒤집는 전복의 사유’라 할 수 있다.‘아이지혜담’에서 아이가 넘어서는 것은 실체로서의 아버지가 아니라, 아버지의 역할 수행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는 아버지이며, 아이는 아버지 역할 수행을 대신함으로써 이상적인 아버지상을 구축한다. 이렇게 아들이 아버지의 한계를 넘어서는 긴장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족 관계가 변화하면서 전도(顚倒)되는 아버지와 아들의 위치를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이지혜담’에서 아버지의 한계를 감싸안는 것은 우리 민족이 갖고 있는 집단주의적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집단주의적 특성은 <바리데기>와 <가믄장 아기>, <내 복에 사는 딸>에서 버려진 딸이 부모를 다시 만나게 될 때도 부모를 내치지 않고, 오히려 감싸안고 품어주는 데서도 공동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크게 보면 ‘효’라는 유교적 관념으로 설명될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 근본적으로 우리 민족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기반하여 나와 부모를 떨어져서 생각하지 않는 집단주의적 사고 방식, 인정주의, 온정주의적 사고 방식, 관계 중심의 사고 방식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가부장제의 유지가 당연시되던 시대적 상황에서 무능한 아버지, 실수하는 아버지, 부도덕한 아버지를 뛰어넘는 지혜로운 아이를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버지를 뛰어넘는 아들, 아버지의 한계를 극복하는 아들을 통해 얻게 될 밝은 미래에 거는 희망이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of the childre n's wisdom is explore d. In the narrative of the children's wisdom the son solves the problem that his father cannot solve. This type of solution is divided into replacing the incompetent father, recovering the father's mistake, correcting the father's error, helping the father and so on. In the narrative of the child who solve s his father's proble m, the authoritative father's contradiction is revealed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narrative that reveals the father's limitations ends up with the absence of the fathe r. The common point of this type of narrative is the story of the child who solves the problem of the father being absent. The son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father through wisdom. Wisdom, not the knowledge, is the insightful power and overturning thinking, which turns upside down the common sense. In the narrative of the children's wisdom, what the child overcomes is not the father itself but the father who does not play the function of the father. The child builds up the ideal image of the fathe r by playing the role of the father. The son's overcoming his father shows symbolically the changing status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s time goes on in a family relationship. The father who cannot solve the problem is embraced in the children's wisdom narrative. The children's wisdom narrative reflects the corporate character of our nation. In the society that the patriarchal system is taken for granted, the child who overcomes the incompetent, mistake-making, immoral father means the hope for the new bright future which can dawn by the child's wisdom.

1. 서론
2. 유형 분류
3.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양상과 의미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