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112.69
52.15.112.69
close menu
KCI 등재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Meaning of Obstacle of Marriage and Ordeal to Thorangsunbi and Chungjunggaksi
한양하 ( Han Yang Ha )
구비문학연구 30권 67-99(3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339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함경도에서 죽은 사람을 위해 ‘망묵굿’을 하는데 그 재차 가운데 부르는 서사무가가 <도랑선비 청정각시>다.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혼인으로 부부가 되었지만 신랑이 혼례도 다치르지 못하고 죽게 된다. 그러나 청정각시의 간절한 기원과 정성에 의해 다시 만나게 되어 부부가 신으로 좌정하게 되는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정각시가 겪는 가혹한 시련의 의미가 무엇인지, 부부의 인연이 죽은 이에게 어떤 의미가 있기에 망묵굿에서 불렸는지, 청정각시의 욕망이 어떻게 드러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런 의문들을 해소하기 위해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텍스트 내적 의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손진태 채록, 김근성 구연본인 <도랑선비와 청정각시>를 기본텍스트로 하였다. 구연본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서사가 비교적 자세하기 때문이다. 먼저 서사를 혼담, 혼사장애, 시련, 재회로 나누어 혼사장애와 시련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고찰하였다. 그 다음 무가에 드러나는 시간과 공간의 특징, 행위주체의 특징을 분석하여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청정각시가 겪는 첫번째 시련과 두 번째 시련은 혼사장애로 인한 미완의 혼례를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남편의 묘 앞에서 신방을 차리고, 손바닥에 구멍을 뚫어 실을 꿰어 올려 훑고 내리 훑어도 아프다고 하지 않는 시련을 합방의식으로 보았다. 청정각시는 이렇게 미완의 혼례를 완성한 다음소지공양과 치도로 남편 만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청정각시에게 부과된 가혹한 시련은 가부장제 편입의 과정으로 세상에서 제일 지성한 열녀로 인정받아 집안의 조상할머니가 되었다고 보았다. 청정각시는 여성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드러낸 인물이다. 남편의 손을 잡고자 하고 남편을 안고자 했던 시도들로 이승에서 갖은 시련을 겪지만 저승세계에서 여성욕망을 당당하게 실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Mangmukgut, which is the ceremony for the dead, is performed in Hamkyeong province. During the ceremony the song, Thorangsunbi and Chungjunggaksi is sung by shaman. Thanks to her earnestness and sincerity, Chungjunggaksi goes into the other world, to meet her husband again and enjoys a happy life with him. And then they become the Gods. This study is focused on what the meaning of the ordeal which Chungjunggaksi goes through is, what the connection of man and woman as couple means, why this song is sung at Mangmukgut and how the desire of Chungjunggaksi is revealed. This study covers the inner meanings of this text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I adopted Thrangsunbi and Chungjunggaksi r e corded by Kim J in Tae and narrated by Kim Geun Sung as a basic text. Because it is the oldest and the story is explained in detail. First I divided the story into obstacles on marriage, obstacle of marriage, ordeal, and reunion. And then I examined how the obstacles on obstacle of marriage and ordeal are revealed. And then I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ime and space which appeared to MuGa(巫歌) and tried to find out the me anings of the obstacle of marriage and ordeal. The first and second ordeal which Chungjunggaksi goes through is to finish the incomplete marriage ceremony that was stopped due to obstacles. She sets the bridal room in front of the grave of her husband and makes a hole on her palm, pulling the thread through the palm up and down. And she thought the patience to the pain as the ceremony of spending the first night with her husband. After finishing the incomplete marriage ceremony like this, she is qualified to meet her husband through Sojikongyang(燒指供養) and ChiDo. The orde al imposed on Chungjunggaksi is regarded as the process to a patriarchy admission. She was acknowledged as the most faithful woman and became the ancestor grandmother of a family. Chungjunggaksi is viewed as a person who reveals her desire. She tried to hold her husband's hand and embrace he r husband. Aa a result she undergoes many trials in this world. But it is considered that she realizes her desires boldly in the other world at last.

1. 들어가며
2. 혼사장애와 시련
3. 시·공간과 행위주체
4.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5.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