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72.78
3.139.72.78
close menu
KCI 등재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 관한 비판적 독해 -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
Critical Analysis on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Cultural Grammar regarding the ‘Filial Piety/Impiety’ Type Oral Folklore - focusing on the folklore type No. 431-1; ‘making his wife do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with the impiety mind’ -
최기숙 ( Choe Key Sook )
구비문학연구 31권 115-155(4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35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431-1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 유형 총 48편을 대상으로 효 설화를 가족관계 담론과 가족 윤리 및 공동체 윤리 담론으로 재성찰하는 작업의 단초로 삼고자 했다. 해당 유형은 궁극적인 효의 실천을 위해 아내에게 불효한 마음으로 물질적 봉향을 하게 하는 가족 딜레마를 통해 효의 문제를 역설적으로 제기했다. 먼저, 해당 설화를 시부모-며느리 관계 갈등의 측면에서 보면, 며느리의 태도 변화에 따라 네 가지 세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시부모의 며느리에 대한 칭찬으로 불효를 포기하는 인정욕구(need for recognition) 충족형(11편), 둘째, 며느리의 봉양으로 건강을 회복해 육아와 가사를 돕는 살림분담형(27편), 셋째,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에 인정이 교환되는 교감형(7편), 넷째, 여러 요소가 혼합된 복합형(3편)이다. 설화 향유층들은 며느리와 시부모의 관계를 단순히 윤리적 차원이 아니라 ‘호혜적인 계약관계’로 이해했으며, 상호 교감과 협력에 대한 기대, 며느리의 효행에 대한 사회적 인정 욕구에 대한 기대치를 갖고 있었다. 또한 가족관계란 가족 안의 사생활이 아니라 공적 장 안에서 관찰과 평가의 대상이 될 때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관념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해당 유형을 ‘가족관계 담론’의 차원에서 보고 인물별 입장과 주제 층위를 분석했다. 첫째, 아들/남편의 입장에서는 아내를 속여 ‘의도적 효행 조작’을 이끌어내는 ‘가족딜레마’가 발생했으나, 이는 궁극적으로 시부모-며느리 간의 화해적 관계를 도출하는 ‘거짓말의 역설적 효과’로 귀결되었다. 둘째, 며느리/아내의 입장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일방적으로 속이는 과정에서 아내의 무지와 불안한 지위가 문제적으로 폭로되었으며, 불평등한 부부 관계가 드러났다. 셋째, (시)부/모의 입장에서는 아들의 효심에 전적으로 기대는 의존적 노인의 입지가 드러났다. 이는 비경제 활동인으로서 재산이 없는 노인의 무력감과 위기감을 반영했다. 시부모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식 세대의 물질적 봉양이며, 이는 가족관계 갈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결정적 요소로 전제되었다. 해당 설화는 가족 관계란 일방적이고 당위론적인 윤리의 강요만으로는 개선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가족 간의 상호 부조, 교감, 탈권위화와 협력, 타인 가족에 대한 관심의 적정선에 대한 사유 등의 문제를 성찰적으로 요청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folklore type No. 431-1;‘making his wife do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with the impiety mind’(total 48 pieces) in a viewpoint of family relationships narratives, family ethics and community m oral narratives. Such type brought up some important questions;what is the sincere filial piety? Is it permissible for the husband to deceive his wife with a good motivation of letting her do a filial piety? First of all, this paper divided the type 431-1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conflict between parents-in-law and daughter-in-law;the first, satisfying need for recognition type, a daughter-in-law change her attitude because of words of praise by her parents-in-law. The second, helping housekeeping type, parents-in-law begin to help their daughter-in-law after recovering their health owing to their daughter-in-law's material supporting. The third, intimacy type, sharing sympathetic mind between parents-in-law and a daughter-in-law. The forth, complex type, mixed with the other three types. The audience and speakers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in-law and a daughter-in-law as a reciprocal contraction, and they had some expectation on their collaboration, sympathy, and social concern on a daughter-in-law's filial piety toward her parents-in-law. And they showed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should be gather some social consideration as a form of observing and estimating by the public sphere. In a viewpoint of family relationship narrative, such type can be approached in 3 facades. The first, in a position of ‘son/husband’, he evoked some problematic family dilemma through deceiving his wife for the purpose of making her do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However, eventually such a fraudulent suggestion led to an unexpected result;reconciliation between wife and parents could be called a ‘paradoxical effect of lie.’ The second, in a position of ‘daughter-in-law/wife’, some stories revealed the wife's weak social position and unfair couple relationship through the husband's attitude; it was premised that the husband's lie could be rationalized because he lied for parents with a good motivation. The third, in a position of ‘parents/parent-in-law’, some stories showed the aged persons' dependant position;economical poverty and physical weakness. It was urgent need for the aged persons of material support from their son and daughter-in-law to keep their survival and such thing could unexpectedly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parents/parent-in-law’ and ‘son/daughter-in-law’. In conclusion, the type 431-1 suggested some questions problematically; the family relationship couldn't be improved only depending on the obligatory demand for ethics. It was need that mutual aid between family members, breaking the parent's unilateral authoritarianism and keeping the manners of appropriative consideration toward the other family as a neighbor.

1. 가족 관계 윤리와 문화 규칙으로 본 ‘효’ 관념의 재성찰
2. 시부모-며느리 관계로 본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의 하위분류별 주제 층위와 가족관계 상상
3. 가족 관계 담론으로 본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 유형의 인물별 입장과 주제 층위의 상상 구도
4. 향유층으로서 노인층 설화 구연자의 입장:노인 세대와의 동일시와 공감의 상상력
5. ‘표집된 이야기’로서의 설화 유형, ‘효 담론’에서 ‘가족 관계 담론’으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