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66.98
18.118.166.98
close menu
KCI 후보
경기도 양주군 민요의 과거와 현재-노동요와 의식요를 중심으로-
The past and present aspect of Kyongggido Yangju Province folk song
김헌선
구비문학연구 17권 113-171(59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380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경기도 양주군의 민요를 노동요와 의식요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양주군 민요는 지역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사실을 정리해서 일목요연하게 보이면 경기도 양주군의 소리가 지니는 시대적 의미가 정리되리라 생각된다. (가) 경기도 양주지역의 민요는 황해도 등의 해서지역 소리와 서울 등지의 경토리 소리 권역의 경계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해서소리도 아니고 경토리 소리도 아닌 두 가지가 섞인 경서토리의 하위유형을 형성한다. (나) 경기도 양주지역의 민요는 경기도 서북부 민요의 특성뿐만 아니라 경기도 전역에서 고루 발견되는 민요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나)1 논매는소리가운데새쫓는 소리 또는우야소리가 여기에 해 당한다. (나)2 지경닫기소리 역시 경기지역 전역에서 고루 발견된다. (다) 경기도 양주지역의 민요 가운데 경기도 서북부 민요권의 민요들과 미세한 차이를 지니는 소리도 발견된다. (다)1 모심는 소리는 하나소리와 열소리의 경계면을 이룬다. (다)2 논매는 소리인 긴방아소리는 논김 양산도소리권역이다. (다)3 논매는 소리인 꽃방아소리는 경기도 서북부의 하위유형이다. (다)4 논매는 소리인 상사도야소리는 경기도 서북부의 하위유형이다. (다)5 논매는 소리인 헤이리소리는 고양지역유형과 같은 유형이다. (다)6 행상소리는 경기도 서북부지역 가운데 하위유형이다. (다)7 회대소리는 경기도 서북부지역 소리이다. (라) 소 모는 소리는 전국적으로 확인되는 소리 유형이다. 한 가지의 소리가 일률적으로 나타난다는 생각은 잘못이라 생각한다. 소리마다 편차가 있어서 다양하게 구성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conclusion is following statements. 1. Kyongggido Yangju Province folk song is the interface region between Hwanghae Province folk song and Kyongggido Province folk song. 2. Kyongggido Yangju Province folk song has characteristics too all KyongggidoProvince folk song to Kyongggido Province folk song. 3. Kyongggido Yangju Province folk song has too characteristics of west-north Kyongggido Province folksong to of variants Kyongggido Yangju Province folk song. 4. Folksong of Kyongggido Yangju Province has discovery of Korea.

1. 경기도 양주군 민요의 고유성과 민요 현지조사
2. 경기도 양주군의 민요
3. 경기도 양주지역 민요의 특징과 의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