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96.106.106
54.196.106.106
close menu
KCI 등재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Alcohol Spring(酒泉)’ Legend in Yeongwol : Its Sense of Place and History
황인덕 ( Hwang In-douk )
구비문학연구 19권 239-276(3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15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술이 나오다가 어떤 이유로 하여 안 나오게 되었다는 내용의 ‘술샘전설’은 우리나라 여러 곳에 전승되는 설화 유형인데, 영월군 주천면의 술샘전설은 위 유형을 대표하는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이 글은 위 전설의 성격과 특징을 집중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위 전설은 특정 자연물이 일정지역을 권역으로 하여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면서 전설로서의 의미를 구현하면서 오늘에 이른 결과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위 전설의 본격적인 이해는 시간축과 관련된 형성과 변화의 문제를 다루는 일면, 공간축과 관련된 장소성(sence of place)의 문제를 깊이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이 가운데 장소성은 역사성이나 지역성 및 사회성 등 시간축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위 전설의 이해에서 좀더 중요시하여 다룰 필요가 있다. 술샘 부근의 바위는 석회암 지질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고, 석회암지질대의 지하수는 물길의 잦은 변화와 심한 이온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볼 때 이곳 술샘전설은 술샘의 물맛이 술맛과 비슷하고 수질이 불규칙한 데에서 발단된 것으로 보인다. 술샘이라는 지명에서 술샘전설이 형성되고, 전승력이 강화되고, 전승권이 확장되고, 전설의 내용이 변이된 등의 여러 측면들은 술샘의 장소성과 문화경관의 영향이 가해진 결과이다. 여기에는 ‘교통의 요충’, ‘쉬기에 좋은 곳’이라는 일반적인 측면 외에 지배층 중심의 문화경관성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는 곧 위 전설의 내용에 대한 영향으로 이어졌다. 술샘전설의 초기유형은 술샘바위 일부가 저절로 깨어진 사실에서 형성되었다. 깨어진 바위를 관원들이 다시 깨드린 사실이 있었고, 이 사실을 상민들의 관점에서 해석하다보니 마치 관원들이 술샘바위를 독점하고자 가져가려 한 것으로 표현 되었다. 이 초기유형에 이미 지역민의 계층성이 반영되어 있음이 주목된다. 그리고, 후기유형으로 오면 이러한 지배 / 피지배 인물구도가 양반 / 상놈 구도로 바뀌게 된다. 이는 조선후기 한국의 일반적인 사회현실을 반영하는 것임과 동시에, 주천의 지역사회적 현실이 함께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술샘전설은 최근 들어 장소성에 심한 변화가 가해졌고, 이에 따라 전설의 전승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상호 긴밀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는 점에서 장소성을 중시한 위 전설 이해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lcohol Spring’ legends tell of alcohol that came out of natural springs but stopped for a reason. They are folklore types that are part of Korean oral tradition. The Alcohol Spring legend in Jucheon-myeon, Yeongwol-gun is typical of the alcohol spring type. This paper focuses on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is particular legend. The legend shows that a story of a certain natural thing in a certain area was handed down for a long time and realized its meaning as a legend. Considering thi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legend needs to deal not only with the formation and changes on the chronological axis but also the sense of place related to spatial axis. Because the sense of place is deeply related to historical, local, and social senses, they need to be the primary framework through which the legend is understood. The rock around the alcohol spring belongs to a broad geological area of limestone existing from Gangwon-do to Gyeongsang-do. The rock is typical of a limestone area. Underground water in limestone area is characterized by the frequent change of course and severe ionization. This alcohol spring legend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water tastes alcoholic and the quality is irregular. The village named ‘Alcohol Spring’ formed the legend of an alcohol spring, reinforced the power of oral tradition, extended the area of oral tradition, and changed the content of the legend. These aspects are affected by sense of place and cultural landscape. Sense of cultural landscape centered on the ruling class as well as general aspects such as ‘important places for transportation’ and ‘a good place to take a rest’ affect the legend with a great degree. These influenced the contents of the legend as well. The early type of alcohol spring legend was formed by fact that the part of the rock was broken of itself. Public officials smashed the broken rock again. From common people's interpretation, public officials tried to take the rock to monopolize it. This early type represented the sense of hierarchy of local people. In the later type of story, character plot of governing/governed classes changed into that of yangban (upper class)/sangnom (lower class). This reflects general social reality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local social reality of Alcohol Spring. The alcohol spring legend recently underwent a change in sense of place. This affected the power of the oral tradition of the legend. The sense of place and power of oral tradition are interrelated. It is relevant to understand the legend through the framework of sense of place.

1. 머리말
2. 현지 자연물의 특성과 ‘술샘’ 지명의 성립
3. 술샘주변의 장소성과 문화경관의 변화
4. 술샘바위의 붕괴사실과 전설화의 초기 모습
5. 전승유형의 후대적 변이와 시대성의 반영
6. 술샘의 장소성 쇠퇴와 전설 전승력의 약화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