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6.241
18.118.126.241
close menu
KCI 등재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들노래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전개
The Regional Features and its Cultural Development of the work-songs of Mojeong-ri field
김월덕 ( Kim Wol-duk )
구비문학연구 19권 317-346(30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17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고에서는 전북 동남부 산간분지 지역에 속하는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들노래의 지역적 특성을 통해 그 문화적 전개과정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 지역 안에서도 자연환경과 문화적 조건의 영향에 따라 생기는 미세한 변화와 차이들이 토착적인 노동요 속에 반영되어 있다. 순창지역은 지형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전북 서부 평야지역과 동북부 산간지역 사이에 있어서, 두 지역의 문화가 충돌하고 공존하면서 독특한 문화를 새롭게 창출해 냈다. 본 고는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들노래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민요의 지역적 차이가 생기는 요인을 민요 외적 요인들과 민요 내적 요인들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생산노동의 관행 및 노동력의 운영방식이라는 민요 외적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금과면 모정리에서는 평야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토가 협소하기 때문에 두레를 동원하지 않고 품앗이로 노동집약적인 김매기를 하였고, 하루에 감당해야 할 전체 김매기 작업량의 비중이 많은 오전에 노동요를 배치함으로써 환경 조건과 노동 조건에 적합한 방법으로 김매기 노동의 효율적인 성과를 얻었다. 곡조나 가창방식 등 민요 내적인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모정리 들노래가 전북지역에서 뚜렷하게 대비된 차이를 보이는 산간지역이나 평야지역의 경계에 있으면서도 그 문화 자체의 독자성을 창출해낸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모정리 들노래에서는 전북 동북부의 메나리토리가 사라지고, 전남 쪽에서 밀고 올라온 문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육자배기토리의 선후창 ‘모심는소리’와 ‘논매는소리’와 ‘장원질소리’가 나타난다. 경토리의 ‘논매는소리’는 그 곡조가 어느 지역보다 다양하게 분화하고 발달하였으며, 가창방식 또한 선후창, 두패 교환창, 두패 선후창, 선입후제창, 복창 등으로 다양하다. 이처럼 모정리 들노래에서는 문화적으로 뚜렷한 대조를 이루는 산간지역과 평야지역 들노래의 지배적 요소들이 공존하면서도, 두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요소들이 나타난다. 이것이 바로 대조적인 두 지역 사이에서 어느 쪽으로도 동화되지 않고, 자신들의 문화에다가 새로운 문화를 독자적인 방식으로 통합하여 창출해낸 모정리 들노래의 문화적 독자성이다. 아울러, 들노래의 전승 환경과 전승 주체가 변화하면서 여기에서 생겨난 새로운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마을 중심으로 전승되면서 마을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인시켜 주었던 들노래는 이제 보존회와 같은 새로운 전승 집단을 기반으로 전승되면서 들노래를 통해 새로운 의미에서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들노래를 무대 공연 양식으로 변형시켜 가는 과정에서는 청관중들에게 현대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기존 들노래가 재구성되어 가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신제국주의적 정보화의 풍랑 속에서 우리와 같은 약소민족 국가가 자기 민족문화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그것들을 바탕으로 독자적이고 새로운 민족문화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본 고와 같은 방향의 연구작업은 한국문화의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해 나가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ork-songs in relation to life and culture using songs sung in the field at Mojeong-ri, Geumgwa-myeon, Sunchang-gun county which is one of the basins in the mountain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Jeonbuk province and to review the village's communal life and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k-song. In an aboriginal work-song, changes and differences that were created from the influence of natural and cultural conditions were reflected in the work-song. In Sunchang, two regional cultures have coexisted, sometimes clashing each other between western plains area and north-eastern mountains area, where cultures in the two regions of Jeonbuk province have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 from topographical as well as cultural aspect, that is Sunchang is a kind of ‘acculturation area’. Based on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Sunchang created unique culture. This paper reviews detailed patterns of the unique culture of the reg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k-songs at the field of the region. As Mojeong-ri of Geumgwa-myeon is relatively a small area compared to plains area, people in the region were doing labor-intensive weeding works on ‘pumasi’ (work in turn for one another) basis instead of ‘dure’ (cooperative working system), and they deliberately arranged with workers to sing ‘work-songs’ in the morning time when there were more weeding work volume to complete than afternoon time. As a result, they could get more efficient weeding work by providing more productive environment and labor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review on the internal elements of folk songs such as melody and singing pattern show that ‘menari-tori’ (tori means regional differences of Korean folk music) influenced by north-eastern area completely disappeared from the field songs in Mojeong-ri, and ‘yukjabagi-tori’ rice planting songs, weeding songs and jangwonjil songs (singing when coming back to village from work) which were more influenced by the culture from Jeonnam province and ‘gyeong-tori’ weeding songs sung in various singing patterns such as in the form of a singing leader and following group, exchange of chorus by two groups, chorus leading and following by two groups, one group's chorus leading and later chorus together, and double chorus and so on. Thes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field songs of Mojeong-ri were not entirely assimilated to any one side of two area, but it showed cultural uniqueness created by the members of regional community. In addition, the study reviews on the new changes that were created, as the environment and subject of the transmission for the field songs were changing. While the songs were handed down centering around the village, the field songs which confirmed the identity of village community are again handed down to new group such as Field Song Conservation Organization and thus formed new concept of community consciousness. During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field songs into the form of stage performance, the field songs were re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songs can present excitements to audience.

1. 머리말
2. 순창 금과지역의 자연 환경과 모정리의 인문적 배경
3. 순창 금과 모정리의 노동관행과 노동요의 상관성
4. 순창지역의 음악문화와 모정 들노래의 곡조 및 가창방식의 특징
5. 전승환경의 변화와 노동요의 새로운 지향
6.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