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104.214
3.139.104.214
close menu
KCI 등재
카구라와 공동체문화-중국지방을 중심으로-
Kagura(Shinto music and dancing) and community culture-Focusing on the Chugoku region-
윤광봉 ( Yoon Kwang-bong )
구비문학연구 20권 277-305(29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27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신사를 중심으로 제를 올리고 따로 신을 위해 거행되는 카구라는 중국 지역 사람들이 가장 즐기면서 기다리는 축제이다. 본 연구는 일본의 중국지방 특히 히로시마현과 시마네현의 카구라 현황을 살피고, 이들이 어떠한 공동체를 이루고 어떻게 카구라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가를 살핀 것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은 국민들을 국가적 집단주의로 몰아 넣고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로 이끌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후 과거의 반성과 함께 시민사회와 양립하는 새로운 공동체론을 대두시켰다. 일본에서 공동체라는 말은 50년대에 대단히 유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대표자가 오오츠카 히사오이다. 당시의 공동체란 농촌공동체를 연상시켰는데, 이것은 근대화 이전의 농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규율이 엄격해 개인적으로 행동을 자제할 수밖에 없는 역사적으로 보면 낡은 개념이었다. 60년대에 농촌출신자가 도시로 진입하면서 농촌적인 가치관이 국민문화를 대표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 뒤 고도성장기를 맞아 전국 규모의 산업구조의 변화와 대도시권의 인구 이동에 의해 일본의 촌락 사회는 한결같이 초고령화하고 전통적인 생활 양식도 눈에 띠게 변화되었다. 그러함에도 각 지방에는 그 지방 전통이 나름대로 보존 계승되었다. 그것은 그 지역만이 갖는 특수한 공동체문화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 문화는 하나 아닌 많은 사람들이 소유하며, 개인은 물론 서로의 안전과 마을 전체의 안녕을 빌기 위해 만들어진 문화이다. 카구라는 바로 이러한 요소를 갖춘 공동체 문화라 할 수 있다. 중국지방이란 히로시마를 비롯한 오카야마, 야마구치, 시마네, 도토리현을 이른다. 중국지방은 산간지역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신앙에 의지하면서 사는 이 지역 사람들은 이 카구라가 그들 의식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오락이다. 이러한 사고가 지금까지 그대로 살아 있어 수백개의 카구라 집단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히로시마와 시마네의 가을 마츠리는 대단히 화려하다. 이 지역에서는 산중의 마을들이 하나의 근거지로서 수십 개의 카구라단이 조직되어 축제에 참여하여 화려한 의상을 자랑하고 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어린아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그 구성원은 다양하며, 온갖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뚜렷한 사명감을 갖고 카구라를 계승해온 한 대부의 회고담은 일본의 카구라가 어떻게 전승 보존되어 왔는가를 엿보게 한다. 神樂大夫인 후지하라(藤原元美)는 히로시마현 출신이다. 그는 히로시마현을 중심으로 카구라 봉사 경험이 풍부한 카구라의 명수이다. 그에 의하면, 명치 이후 신직의 춤을 금지했으나 그 일부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시대 형편에 따라 의식 내용도 달라졌다. 이를테면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카구라는 마을의 안전과 가정의 안녕, 그리고 풍작을 기원하는 단계에서 전쟁에 나간 사람을 위해 무운장구를 비는 의식으로 바뀌었다. 무엇보다도 그 자신 보람된 것은 연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춤사위를 보존하기 위해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이 계속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나중에 국가문화재로까지 지정 받는 결과를 낳았다. 그 뒤 계속 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이어졌는데 카구라 보존회가 그것이다. 대원카구라의 경우, 국가지정무형문화재로 지정 받은 뒤 보존회를 만들되 완전히 이 지역사람들로 구성하여 자신들이 내는 회비로 회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의 문제점을 도출시켜 카구라에 나타난 대원신앙의 본질의 규명과 제사의 엄수, 전승 보전에 대한 신직의 열의와 의욕의 필요성 그리고 카구라를 연행하는 사람들이 지역의 개성과 특징을 살려 계승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반성을 했다. 특히 카구라 단체가 자꾸 불어남과 동시에 변형되어 전승되는 카구라를 통일화 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이 보존회를 이끌고 가는 지침이 되었다. 그런가하면 柳村에서는 카구라를 비롯한 마을 행사를 위해 이를 맡을 당번을 정해 보존하고 있다. 쉴새없이 닥쳐오는 마을 행사를 주최해야 할 당번인 도우야는 개인적이 아닌 공동체로서 자치행사 제도상의 주최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렇듯 조직적인 행사가 최근 간소화되어 간다는 사실이다. 행사 날짜도 축일 내지는 일요일을 기준으로 한다. 예전 같으면 평일에 해도 직장을 쉬고 왔으나, 이제는 그런 일이 많지 않아졌다. 奉納神樂을 해도 대부분 흥미가 없다고 오질 않는다. 이러한 원인으로 최근 어린이들에게 카구라 연행이 전수되어 오히려 그들에게 인기 종목이 되었다. 그 결과가 생긴 것이 최근 유행되고 있는 어린이 카구라단이다. 또한 히키미죠(匹見町))에서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젊은층의 유출과 급속한 아이들의 감소와 초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곤욕을 치루고 있다. 그래서 주민 한사람 한사람이 모든 일을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고 지역 행정과 협력해서 복지향상에 힘쓰고 주민 누구도 안심하고 활기 있게 살 수 있는 마을 만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카구라를 계승하기 위해 카구라단 나름대로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한 세대에 치우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를 거르지 않고, 10대서부터 60대까지 고른 분포로 단원을 보충해 보존하고 있다. 최근엔 다시 기존의 카구라 내용을 탈피하여 창작 카구라가 유행하고 있다. 너무 똑같은 내용에 식상한 관객들의 갈증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하는 구성원들의 열정이 이를 잘 극복하고 있다. 카구라의 종류도 다양하여 일부 학자들은 최근에 난무하는 오락성의 카구라는 인정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것들 때문에 카구라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됨도 생각해볼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도 피할 수 없는 것은 카구라에 대한 젊은이들의 생각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으며, 열정도 식어가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요즈음 세상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한 공동체를 어떻게 유지할 것이며, 이에 따른 후계자 육성 문제라던가 재정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앞으로의 과제이다.

Individuals who constitute a society belong in one community. Everyone narrowly belongs to a family, a place of work, a society, and a state, and widely belongs to the community of human beings. Each person lives in the present age with individuality and capability being accepted. A person who comes to realize that it is meaningless, by oneself will come to consider the consideration, concession, and collaboration of oth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e culture gathered and made by such people is the so-called community culture. The majority of people from farm villages became city residents in Japan till the 1960s. As the farm village population moved to the city and increased in number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farm village sense of values became the situation that represents national culture. Therefore, the state of a community was an everyday concern those days. While living so, it turned out that the survival of a primitive community continued to change according to a series of examinations which Mr. Otani carried out in the 80s. However, among the Japanese social science community, whose tradition of empirical research is strong, his work was interpreted as reinforcing the authority of Marx's community theory. The external factors and inner factorsact on modernization of farm village society mutually. Because various situations occur,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raditions and customs are realized. In fact, the very process is found in the Kagura (sinto music and dancing) which has spread in the Chugoku district in Japan. Among the Kagura performed in the Chugoku district now, five things, aside from Hiba- Kojin Kagura have played leading roles as element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is area. The Chugoku district is located in a mountainous area. Kagura is an indispensable amusement to people of this area who live depending on faith. Such thinking has remained as it is and lead to the formation of hundreds of Kagura groups. The constituents vary, from young children to old people and their self-confidence of having maintained and inherited this tradition is very strong. It is natural for just such self-confidence to become the activ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Kagura to be handed down orally to be further arranged and developed. Recently, adaptations from existing Kagura are in fashion again. As the expedient that quenches the thirst of spectators fed up with similar content, people engaged in Kagura are forming communities by themselves and solving the problem with mutual wisdom, so that Kagura can be inherited indefinitely.

1. 서언
2. 공동체 문화와 일본
3. 중국 지방의 환경과 예능
4. 공동체 예능으로서의 카구라
5. 결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