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52.23
18.188.252.23
close menu
KCI 등재
구비문학에 의한 현실문화 만들기의 가능성과 필요성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urrent Culture Making by means of Oral Literature
임재해 ( Lim Jae Hae )
구비문학연구 23권 1-77(77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61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구비문학 연구는 전통문화 읽기에서 나아가 바람직한 현실문화 만들기를 적극적인 과제로 끌어안아야 한다. 문화 만들기는 생활 속에서 문학생산 주권을 민주적으로 누리며 문화창조력을 발휘할 때 가능하다. 구비문학은 그러한 생산과 수용의 구조를 갖춘 문예작품의 훌륭한 보기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의 존재양식을 통해서 창조적인 문화 만들기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문학교육과 문예창작, 웃음문화, 지역축제, 구비철학 등에 걸쳐서 다각적으로 모색한다. 문제의 근본은 유명 작가 중심으로 문학생산이 독점되고 문학교육이 문학지식을 주입하는 쪽으로 편중되어, 민중의 문학생산 주권과 저마다 타고난 문화창조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작가 중심의 문학생산에서 모든 사람들이 문학생산 주체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문학교육이 이루어지고 문학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학교에서 구비문학 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하고 공동체문화로서 문학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현대 구비문학의 조사연구 활동과 인터넷문학에 참여하는 활동이 기대되는 방향이다. 구비문학이 문예창작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창작판소리와 창작탈춤처럼 현대 구비문학으로 창작되고 전승되는 환경을 학계의 연구활동과 문화정책을 통해 마련해야 한다. 구비문학자의 창작 구비문학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문화정책도 현대 구비문학 창작을 지원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작가들이 문예창작 자원으로서 구비문학 작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문학 디지털 자료센터를 만들 필요가 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는 웃음문화의 수준과 함께 간다. 구비문학에는 웃음문화의 전통이 풍부하다. 유머자료를 읽는 것보다 우스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웃음문화를 더 적극적으로 누리는 일이다. 탈춤과 판소리, 민요에도 해학과 풍자가 중요한 미적 범주이다. 웃음문화는 구비문학으로 향유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자원을 더 수준 높은 웃음문화로 재창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구비문학은 그 자체로 축제성을 지니고 있다. 탈춤과 굿놀이, 판소리를 연행하는 상황은 축제판이나 다름없다. 축제가 개성 있게 지속되려면 축제를 지탱해 주는 신화와 전설이 함께 가야 한다. 축제의 주제와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도 구비문학이고, 축제의 소재와 내용을 이루는 것도 구비문학이며, 축제의 전승력을 확보해 주는 것도 구비문학이다. 이것이 바로 구비문학의 축제적 기능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다. 문학의 출발이 구비문학인 것처럼 철학의 출발도 구비철학에서 비롯되었다. 이야기를 통해서 삶의 가치와 윤리, 규범 등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속담을 통해 생활 속에서 터득한 삶의 이치를 널리 공유한다. 오히려 철학가의 경전철학보다 민중의 구비철학이 열린 철학 또는 인간해방의 철학을 추구한다. 따라서 구비철학에 갈무리된 민중의 통찰력을 분석해서 생활철학을 정립하는 데 구비문학 연구가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연구는 바람직한 현실문화를 만들어 가는 실사구시의 구비문학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을 열어가야 한다.

A study of oral literature has to look forward from a reading of traditional culture to the task of a current culture making. Culture making is possible when we have a sovereignty of literature production and a power of culture creation in ordinary life. Oral literature is very excellent example of literary art that has a structur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refore we find a way that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reative culture as like literature education, literary creation, laugh culture, local festival, philosophy of literature and so on, on viewing the existence patterns of oral literature. A fundamental problem is that literature production has being monopolized by a famous writer, and literature education has being overemphasized with literary knowledge, so a folk can not has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and sovereignty of literature production. Therefore we have to make literature cul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from writer centered literature production to whoever become to writer of literature. In the school, oral literature education has to increase more than now, and we need to do literature education as communal culture. And we need to survey and study of current oral literature, and to participate with a internet literature activ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literary creation by means of oral literature, we have to make environment that traditional literature become to modern oral literature as like a creative Pansor and Talchoom(mask dance drama) by means of a study activity and cultural policy. A study for creative oral literature of oral literature scholar must be revitalized, and cultural policy has to support a creation of oral literature. And we need to establish digital archives in order to use a oral literary art as material of creation by every writers. A healthy and happy society is depend on the level of laugh culture. In oral literature, a tradition of laugh culture is abundant. It is more useful thing to tell humor each other than reading humor text in the laugh culture. It is important aesthetic category in the Talchoom, Pansori, folksong. A laugh culture is activated by oral literature. Therefore we need to recreate the material of oral literature to more higher level laugh culture. A oral literature has festivity itself. A performance situation of Talchoom, Gutnori, Pansori and so on is not different to a stagy of festival. We need myth and legend that based with festival, in order to continue the festival. A theme and meaning of festival is based on oral literature, and a subject matter and content of festival is also based on oral literature, and a power of handing down of festival is caused from oral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that we have to focus a festive function of oral literature. As like original of liturature is oral literature, a start of philosophy is caused with oral philosophy. We rethink a value and morals of life by means of stories, and joint ownership a principle of life through a proverb. A oral philosophy of folk would pursue a open philosophy or human free philosophy rather than the scripture philosophy of philosopher. Accordingly a study of oral literature has to contribute to lay down philosophy of life on interpreting a penetration of folk in a oral philosophy. Therefore a study of oral literature has to fine a way that could renew to make oral literature desirable current culture.

1. 역사학의 질문을 통한 문학연구의 재인식
2. 민중의 문학 생산주권과 구비문학의 재인식
3. 구비문학의 문학교육 기능과 문학창조력
4. 구비문학의 재창조와 문예창작의 길 찾기
5. 현실문화로서 구비문학과 웃음문화 만들기
6. 구비문학 자원을 이용한 지역축제 만들기
7. 구비문학에 의한 구비철학과 유교철학의 인식
8. 구비문학에 의한 현실문화 만들기의 과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