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34.107
3.138.134.107
close menu
KCI 등재
구비문학으로 ‘축제 만들기’의 현실과 나아갈 방향
Reality and Direction of 'Making Oral Literature Festival'
한양명 ( Han Yang Myeng )
구비문학연구 23권 103-130(2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63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지방자치제가 시작된 1990년대 초반 이후 곳곳에서 축제가 만들어져 이제는 그 숫자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조차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축제의 종류도 다양해서 예로부터 전해지던 공동체축제를 변형시킨 것에서부터 지역 특산품의 홍보와 판매촉진을 위한 특산품축제, 그리고 백화점의 상품판매행사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축제를 ‘일상과 단절을 통해 문화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는 제도적 장치’로 보는 근본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구비문학으로 축제만들기’라는 주제에 접근하였다. 이 주제는 구비문학을 축제의 중심적 연행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전제로 설정한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현대사회에서 경쟁력 있는 구비문학축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장에서는 축제란 무엇인가, 하는 본질적인 문제를 다루면서 근본주의적인 관점의 중요성을 환기하였고, 두 번째 장에서는 전통 사회에서 구비문학과 축제의 상관성을 검토함으로써 현대 구비문학축제에서 배워야 할 점들을 파악하였다. 세 번째 장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구비문학 축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 제시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한편 결론부에 해당하는 마지막 장에서는 외국의 성공적인 축제사례와 대비를 통해 구비문학축제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의 목적을 지역민의 축제 욕구 충족에 둔다. 둘째,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축제를 이끌어가는 동력(집단)을 설정한다. 셋째, 축제를 민간 조직이 주도하는 한편 항구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창출한다. 넷째, 자발적인 참여와 참여자의 경비 부담을 실행한다. 다섯째, 지역분담제로 운영하고 축제 참가자를 운영요원화한다. 여섯째, 동시대적인 효용성을 갖춘 연행을 중심적 연행으로 설정하고 잡다한 연행을 배제한다. 일곱째, 중심적 연행과 관련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early part of 1990's, local festivals have increased so greatly that we cannot exactly grasp the number of them. Festivals of various kinds came into existence from the transformed traditional community festival to local product festivals or marketing events of some department stores. Upon this situation I approached the subject of "making festival with oral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festival is 'the institutional device of freeing folk from the cultural restraint through the separation from everyday life'. As this subject sets oral literature up the central performance of festival, I focused on how we can make the oral literature festival alive in today’s society.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I drew the significance of fundamentalist viewpoint in chapter 1, catched the precepts by che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literature and festival in traditional society in chapter 2, grasped some matters and prepared an alternative idea by examining the results of studies on oral literature festivals in chapter 3,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oral literature festival by comparing successful foreign festivals with ours last chapter. My idea is as follows. First, we establish festival's purpose to satisfy local populace's needs. Second, we set up the leading group of festival, considering participant's demographical property. Third, we make civil organization lead the festival, and create the economic structure to make a profit. Forth, we execute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make the participants bear the expenses in festival. Fifth, we manage the local division system and make participants to do as personnel for festival. Sixth, we put the performances with contemporary effective value as central performance, and exclude miscellaneous performances. Seventh, we continuously carry out the education related with central performance.

1. 축제란 무엇인가?
2. 전통사회에서 구비문학과 축제는 어떤 관계에 있었는가?
3. 구비문학을 다루는 축제의 실상과 연구자의 시각은 어떠한가?
4. 구비문학축제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