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0.1
3.149.250.1
close menu
KCI 등재
진도씻김굿의 공연예술로서의 가능성 검토
An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of Jindo, Ssitgim-gut as a Performing Art
김미경 ( Kim Mi Kyung )
구비문학연구 23권 287-322(3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68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고는 지금까지 진도씻김굿이 가지고 있는 원형의 지속적인 보존을 견지하면서 공연예술로서 어떻게 하면 관객들과 진도씻김굿을 더욱 더 친숙하게 만나게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아무리 거부해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진도씻김굿은 굿으로서의 현장성은 점점 사라지고 우리의 무속적인 전통을 연행하는 무대화 작업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물론 진도씻김굿이 본래의 의미인 무속의식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현장성도 지속되고 있기는 하지만, 무대나 마당극 형태의 다양한 공연예술로서의 변환도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이다. 이런 시점에서 굿으로서의 전통적인 현장성만 고집하며 공연예술로서의 변환을 거부할 수는 없다. 공연예술로서의 진도씻김굿은 우리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굿으로서의 전통적인 진도씻김굿과는 다른 시각으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주지하다시피 진도씻김굿을 공연 현장에서 만나게 되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관객을 만날 수도 있다. 이럴 때 공연자들은 관객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곁들이는 묘미도 필요할 것이고 오디오가 아니면 영상이나 자막으로 관객에게 그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또, 진도씻김굿이 산자나 죽은자 모두를 향한 제례의식을 감안하여 관객을 직접 참여시켜 현재 자신이 존재하는 그 순간에 자기 자신을 한번쯤 돌아보게 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주어도 좋을 것이다. 이런 여러 시도가 바로 진도씻김굿이 앞으로 공연예술로 관객들에게 다가가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진도씻김굿이 죽은 이가 이승에서 풀지 못해 맺힌 한(恨)을 풀어주는 종교의식에서 출발했더라도 공연은 공연예술로서 그 자리매김을 새롭게 시도하여야 한다. 공연예술은 우선, 관객이 보고 싶고 오고 싶도록 만들어야 할 의무가 있다. 하나의 브랜드로 상품화 가치를 극대화시켜야 공연예술로서 비로소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공연예술로서의 진도씻김굿은 기존의 굿의 형태를 보다 많은 시간과 공간의 철저한 짜임새를 필요로 한다. 또, 시각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현대의 미디어 매체와의 결합도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진도씻김굿의 예능보유자 김대례씨는 지금 살아 계시지만, 목이 아파서 말도 일반 사람들이 잘 알아듣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진도씻김굿의 당골로 평생을 살아 온 김대례 씨의 모습을 담은 비디오테이프를 활용하면 얼마든지 일반 관객들이 영상매체와 결합시킨 진도씻김굿 공연을 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앞으로 진도씻김굿의 공연예술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기대하며 “상설공연에 올려지는 진도씻김굿”, “축제 때 공연되는 진도씻김굿”, “마당극으로 공연되는 진도씻김굿”, “민요창극에서 공연되는 진도씻김굿”, “진도지역 밖에서 공연되는 진도씻김굿”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계를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이 공연예술로서의 진도씻김굿을 주목한다면 우리 민족이 대대로 행하여 오던 무속의식이 하나의 예술로 승화되어 지금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전통 민속을 가깝게 인식하고 우리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concentrated on suggesting various possibilities about a issue how Jindo, SStgim-gut could more friendly meet spectators as a performing art, adhering the consistent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that Jindo, Ssitgim-gut had. As there is no use of refusing the stream of the times, the staging of shamanistic customs has been processed rapidly. In the meantime, Jindo, Ssitgim-gut has been losing its realism as a Gut. Of course, traditional realism of rites-the original meaning of Gut-in Jindo, Ssitgim-gut has been continued,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conversions into various performing arts, such as staging or the form ofMadanggeuk. At this point, it is impossible to refuse the conversion of Gut and insist to keep traditional realism. As a performing art, Jindo, Ssitgim-gut should be newly understood from another angle, and it would be to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Jindo, Ssitgim-gut as various forms of Gut. As is generally known, spectators can not understand the message of Jindo, Ssitgim-gut, meeting it in performing site. In this case, what performers should do? They can possibly add simple explanation for spectators understanding, and the explanation can delivered by audio or images and subtitles. Additionally, considering it as a religious ceremony for both the dead and the living, spectators' participation w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help them review themselves at the time of their presence. This kinds of experiments will offer Jindo, Ssitgim-gut a moment to approach spectators as a performing art. Even Jindo, Ssitgim-gut had started from a rite to relieve the dead from grief that had not been relieved in this world, performances should try to make their places as performing arts. Firstly, performing arts have an duty to make spectators want to come and see them. As a brand, the performance is not successful, until its value of commodities is maximized. For this reason, Jindo, Ssitgim-gut, as a performing art, needs thorough structure with more times and places than existing Gut. Moreover, the attempts to combine with the modern media should be processed to raise visual effects. For example, the Master Artiste of Jindo, Ssitgim-gut, Mrs. Kim, Dae-rye is alive now, however she is suffering from a sore throat, so she can hardly speak out to be heard. In this case, if her life, which has been devoted to Jindo, Ssitgim-gut as a shaman, is filmed, general spectators also could see Jindo, Ssitgim-gut combined with visual media. In this view, there are still the expectation of Jindo, Ssitgim-gut as a performing art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Jindo, Ssitgim-gut which is played in permanent performance", "Jindo, Ssitgim-gut which is performed during festivals", "Jindo, Ssitgim-gut which is played by a form of Madangkuk", "Jindo, Ssitgim-gut which is presented in Minyo Changgeuk", and "Jindo, Ssitgim-gut which is performed in other places beyond Jindo". Through this study, if many experts and the academic world pay more attention to Jindo, Ssitgim-gut as a performing art, a shamanistic rite conducted by our ancestors would be sublimed to one of arts, and it would offer many people an opportunity to realize that our traditional custom is just around us and our tradition is really important.

Ⅰ. 머리말
Ⅱ. 진도씻김굿의 공연예술로서의 가능성 검토
Ⅲ.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