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97.157
3.139.97.157
close menu
KCI 등재
전래동화로 포장된 옛날이야기에 대한 일고찰 -<도깨비방망이>를 중심으로-
Study on Old Story Which Clothed with Transmission Tale Doggaebi Bangmangee
김종대 ( Kim Jong-dae )
구비문학연구 25권 25-56(32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89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도깨비가 주인공인 <도깨비방망이>는 일제침략기에 『조선동화집』에 수록된 이후 우리의 대표적 동화로 정착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어떤 이유에서 그런 내용을 담고 있는지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이것은 일제침략기에 일본인에 의해서 행해진 이야기의 취사선택, 혹은 이야기의 개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다면 다시금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야기의 구조적인 변개를 검토하면서 현재 발간된 동화책의 내용을 보면 이들이 어떤 내용을 모범형으로 삼고 있는지를 잘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 동화책의 내용은 일제 때 발간된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런 사실은 전래동화라는 명칭과 함께 일제의 잔재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는 대목이라고 하겠다. 과연 이들 이야기가 동화책의 표지에 적혀있는 것처럼 우리나라에서 전승되고 있는 이야기를 토대로 삼은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 심각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동화책에 대한 검토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구비문학을 전공하는 학자와 동화작가 간의 교류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들이 쓰고자 하는 이야기의 원전에 대한 세심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은 결과인 때문이다. 이제는 일제시대 이래로 사용된 용어-예컨대 ‘전래동화’라는 표현-나 이야기의 내용 등에 보다 진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런 관점에서 본 글은 향후의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단초적인 성격을 지닌다.

Doggaebi Bangmangee(Goblin’s magic wand) has settled as representative Korean story for children since it included in Choseon Tale Collec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eck on its narration structure through investigation into transmitted folk tales so that the actual context of conjugated form will be clarified. In present paper, only Doggaebi Bangmangee is examined, yet this work can be applied to every Korean story books overall which published naming as transmission tales. In conclusion, as far as I concerned, ‘old story’ is more Korean style term rather than ‘transmission tales’. In terms of, ‘transmission tale’ has several questions arise. For example, whether term has been actually used or not, children’s tale has been transmitted by only children and so on. All these questions are remaining uncertain. It was during Japanese invasion when the tales were produced which is suitable for the name of children’s story. In other words, scholars who studied abroad, such as Bang Jung-Hwan, issued children’s magazine and wrote fictive children’s story at that time. And also transmitted tales were made into easy version book so children could read easily. This circumstance has not chang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Doggaebi Bangmangee, it is easy to fine same condition in children’s story book which is clothed with transmission tale or old story. Especially existing folk tales were taken for the new creation and it caused narrative structure confusion. This could be a result of not discussing beforehand about where the transmission tale should belong clearly. It is much more complicated to regard a story about the past as transmission tale or old story. Because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oral transmission folk tale and story puts into writing. Nowadays most of children’s book published without deep consideration on this aspect. From this point, we need to work, starting from terms regulation. From that point, careful concern on children’s book is required. Actually, Japanese style expressions and illustrations which flowed into Kore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need to be investigated as well. This is opportunity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for Korean children.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n opportunity that our children can understand more about national identity as Korean.

1. 서- 전래동화는 과연 전래동화인가에 대한 물음
2. <혹부리영감>, 도깨비를 세상에 알리다
3, 동화로 출판된 <도깨비방망이>는 전승인가, 창작인가
4. 전래동화는 과연 전래동화라고 할 수 있는가
5. 결어- 전래동화는 상품의 포장을 위한 표현이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