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244.83
3.143.244.83
close menu
KCI 후보
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 -서술방식과 서사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Cheonyerok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Yadam Anthologies
이강옥 ( Lee Kang-ok )
구비문학연구 14권 233-279(47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506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18C 야담집인 『천예록』은 야담의 형성과 발전의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먼저 『천예록』은 기이한 이야기를 많이 수록하고 있지만, 기이에 현실적이거나 윤리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전설을 야담계일화나 야담계소설로 전환시켰다. 그리고 사건을 구체화하고 풍경과 배경을 뚜렷하게 만들었는데, 그것은 『천예록』이 야담 작품의 자족성을 확립한 증거라 볼 수 있다. 또 등장인물의 말을 그대로 제시하고 세부적인 행동이나 배경을 상세하게 기술하는 등 지연의 서술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압축과 절제를 추구하는 일화의 수준을 넘어서서 소설로 나아가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함께 『천예록』은 경험자가 자기 경험을 진술하는 모범을 부각시켰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런 진술방식은 『청구야담』이나 『동야휘집』등 19세기 본격 야담집에서 중심 서술방식으로 응용되었다. 『천예록』은 야담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천예록』이 기이한 내용의 이야기를 많이 담고 있다는 것은 야담집으로서의 한계라 할 수 있다. 『천예록』은 조선 후기에 새롭게 변화된 현실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야담을 발전시키기보다는, 지속되어 온 현실과 전승되던 이야기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서술하고 또 거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야담을 발전시켰다고 하겠다. 형식이 내용을 이끌고 있는 단계란 점에서 내용이 형식을 이끌거나 내용과 형식이 통합된 19세기 야담과 구분된다고 하겠다.

The Cheonyerok(天倪錄), an eighteenth century Yadam anthology, is a very important Yadam anthology in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adam. Although the works included in the Cheonyerok recorded eccentric events, it gave them realistic and ethical meanings. So the Cheonyerok played a very significant role in trasforming Legends into Yadamge(야담계) Anecdotes or Yadamge Novels. The stories in the Cheonyerok were portrayed realistically and their backgrounds clearly. By those methods, the Cheonyerok made its works independent from other facts, ideology or ethics etc.. The Cheonyerok used deferment of narration, the method which helped extend the time and space of works. This method of deferring narration helped transform the Anecdotes into Novels. The Cheonyerok invented a model of the self-narration in discribing one's own experience. This model was developed into the most important narrating method of Cheongguyadam and Dongyawhygip which were written in 19 century. But the limit of the Cheonyerok is that it has too many eccentric works. The works portrayed by the narrative perspectives of ‘desire -fulfillment’ or ‘problem-solution’ are praised, because they reflect the reality of the late Yi dynasty positively. But the Cheonyerok has only a few works using such narrative perspectives. So we can conclude that the Cheonyerok developed Yadam not by reflecting the new reality of the late Yi y but by narrating the old stories newly and by giving new meanings to the old stories. The clearest distinction between the Cheonyerok and the 19th century Yadam is that in the Cheonyerok form is given more significance than the content, while i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content is given more significance than form or form and content are integrated.

1. 문제의 제기
2. 천예록의 서술방식과 서사의식
3. 천예록의 서술방식과 서사의식에 나타난 특징의 의미와 그 야담사적 위치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