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9.115
3.143.9.115
close menu
KCI 후보
일본 구승문예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세켄바나시’론을 중심으로-
Recent Trends and Themes in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in Japan, with Emphasis on the Theory of ‘Sekenbanasi’
남근우 ( Nam Kun-wu )
구비문학연구 15권 187-217(3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52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일본 구비문학의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근년의 ‘세켄바나시(世間話)’론이다. 이에 관한 논의가 일본의 구승문예 연구를 포함한 민속학의 방법적 탈구축을 추구하면서, 오늘을 사는 열도 주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사회의 포착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계기를 마련한 시게노부의 ‘세켄바나시’론을 검토하고, 나아가 1990년대 이후에 전개된 새로운 연구동향과 방법적 지향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시게노부에 따르면 ‘세켄바나시’란 ‘이야기’의 ‘판(場)’에 의해 규정되는 자유로운 담화 형태를 말한다. 그것을 기왕의 전승성이나 유형성, 문예성의 질곡으로부터 해방시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일상을 대상화하는 방법으로 삼자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러한 문제제기 이후 현대사회의 ‘세켄바나시’ 연구에서는 ‘도시전설’과 ‘생활담’, ‘세켄바나시’, ‘현대전설’, ‘현대민화’와 같은 여러 가지 용어들이 병용되고 있다. 그 용어들 속에 반영된 새로운 문제의식과 관점, 그리고 연구의 목표와 방법 및 과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Scholarly attention in the field of ‘trends in the study of Japanese oral literature’ recently has been given to the theory of ‘sekanbanasi’. The reason is that, as discourses on this subject aim at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methodology of folklore studies, including studies of Japanese oral literature, the theory tr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narratives’ of the people living on the Japanese Isles.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Sigenobu's theory of ‘sekenbanasi’,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provided a momentum for such discourses, and I have further inquired what the ultimate goal is of this new scholarly trends and methodology that developed since the 1990s. According to Sigenobu, ‘sekenbanasi’ means a form of free narrative which is defined in terms of a ‘scene’ of ‘narrative’. Sigenobu insists that we must regard it as a method of objectifying our everyday life by freeing narratives from the existing bonds of transmission, typology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After the introduction of Sigenobu's theory, ‘sekenbanasi’ studies of contemporary society use various concepts such as ‘urban legends’, ‘life stories’, ‘sekenbanasi’, ‘contemporary legends’ and ‘contemporary folk tales’. I have considered new problems, viewpoints, and purposes/ methods/ themes of this approach that are reflected in those concepts.

1. 왜, ‘세켄바나시’인가?
2. 구승문예로서의 ‘세켄바나시’
3. ‘방법’으로서의 ‘세켄바나시’
4. 새로운 연구동향과 과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