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86.164
18.216.186.164
close menu
KCI 후보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 -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dentity of Korea Trot
장유정 ( Zhang Eu-jeong )
구비문학연구 16권 49-89(4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531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지금까지 트로트는 ‘왜색’과 ‘천박’의 그늘에 가려서 제대로 그 가치를 평가받지 못한 대중가요의 한 양식이다. 그러나 트로트가 오늘날까지 불린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트로트의 생명성에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가사 외적인 상황과 가사 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트로트의 정체성을 밝혀 보았다. 정체성의 판별기준으로는 현재성, 대중성, 주체성을 들 수 있다. 이 세 가지 기준을 트로트에 적용시킨 결과, 트로트는 한국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트로트의 가사를 그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경과 그리움의 정서’를 표현한 노래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쁨과 환희의 정서’를 드러낸 노래도 일정 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의 가사가 사람들을 비탄에 젖게 한다는 기존의 견해는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등장해서 오늘날까지 불리는 트로트를 전통의 지속과 변모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민요와의 비교를 통해 시어와 수사체계, 그리고 정서의 측면에서 전통적인 요소가 어떻게 재생과 변주를 이루고 있는지를 밝혀냈다. 그리하여 임의 부재에서 비롯한 ‘동경과 그리움의 정서’가 전통의 계승이라는것과 임에 대한 과거 지향성이나 임에 대한 시적 자아의 수동성이 민요에 이어서 트로트에도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Trot is a type of popular song that has been overshadowed by prejudices against “Japanese style” and “frivolity”, and thus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rot is still sung today, there must be some reason for its continued vitality.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uncover the identity of trot through an analysis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situations in its lyrics. The standards by which identity may be judged include currentness, popularity and subjectivity. Applying these three standards to trot, it was found that trot has embraced the identity of Korea. Following this, the lyrics of trot songs were examined, centering on the sentiments of the poetic ego. 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it appeared that the greatest number of songs expressed “sentiments of yearning and nostalgia”, while a significant number expressed “sentiments of joy and delight”. This revealed the need to rectify the conventional perception that the words of popular song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grieved the people. Furthermore, this study looked into persistence and variation of tradition in trot su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oday. Through a comparison of trot and folk music, it was discovered how the traditional elements were revived and changed in terms of poetic language, rhetorical devices and sentiment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feelings of yearning and nostalgia arising from the absence of im (a lover) were inherited from Korean traditions, and past-oriented attitude toward im and the passivity of the poetic ego toward im continue on in trot as they did in folk music.

1. 머리말
2.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과 그 판별 기준
3. 트로트의 가사에서 드러나는 시적 자아의 정서
4. 트로트의 가사를 통해 본 전통의 지속과 변모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