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86.138
3.144.86.138
close menu
KCI 등재
시각장애학교 미술수업의 현황과 개선방향
Status and Improvement of Art Class by Students of the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s
이지은 ( Lee Ji-eun ) , 이해균 ( Lee Hae-gyun )
DOI 10.23944/Jsers.2018.06.57.2.3
UCI I410-ECN-0102-2018-300-003925302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의 미술수업 현황과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조사ㆍ분석하여 미술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시각장애학교 초ㆍ중ㆍ고등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들 대부분은 미술수업 시수가 적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수업의 주요 활동은 점토 등의 재료로 만들기이고, 미술교과서 활용 시의 문제점은 교과서가 없어 수업시간에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험영역에서는 초ㆍ중ㆍ고등학생 모두 나무, 꽃 등의 자연물을 탐색하고 만들기, 표현영역에서는 남녀학생과 선천ㆍ후천성학생 모두 만들기와 꾸미기 위주의 조형활동, 감상영역에서는 초ㆍ중ㆍ고등학생 모두 미술작품 감상하기가 가장 선호하는 활동이었다. 둘째, 미술수업의 개선방향으로 교사의 지도방법은 초ㆍ중ㆍ고등학생 모두 주제에 따른 개인작품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순회하며 지도하는 개별지도방법을, 그리고 교사에 대한 요구사항은 초ㆍ중학생은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 주시는 교사, 고등학생은 미술시간에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도록 허용하는 교사이었다. 또한 미술수업에서 해보고 싶은 활동은 만들기이었고, 교사에게 바라는 점은 재미있게 수업을 해 주는 것과 미술수업의 개선 점으로는 작품제작 시에 다양한 재료를 제공해 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미술수업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며, 선행연구 결과와 논의 후, 후속연구에 필요한 사안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to enhance efficiency of art education for students of the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s through presentation of desirable measures for art education as well as systematic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 for art class by the students of the school for visual impairments. The results by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common activity in art class was hand works with convenient materials such as clay and so on. What was found as inconvenient or difficult in connection with art textbook is that most of the students don’t have textbooks to refer to during class. The most preferred activity in the field of experience is searching for natural objects such as trees and flowers etc. and in the field of expression the best number of students with congenital or acquired visual impairments, regardless of male or female chose molding activities mainly consists of craft and embellishment, and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onsistently chose appreciation of art. Secondly, the educational demand of students of the school for visual impairments was individual guidance method whereby students are taught through circuitous teaching whilst expressing personal artwork according to main theme.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anted teacher to be more complimentary and cheerful while those in high schools preferred teacher who allow them to do what they want in the class. Also,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what they most liked to do in art class was hand craft. To the question about students' wish in art class in the future, most of them answered they hoped the teacher to engage students in more interesting way to lesson, and to the question about what were inconvenient things or desired improvement in art class they wished to have more diverse materials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art works.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