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37.35
3.146.37.35
close menu
KCI 등재
학급 및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ass-wide and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s, Participative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Quality of Life
박근필 ( Park Keun-pil ) , 이영철 ( Lee Young-chul )
DOI 10.23944/Jsers.2018.06.57.2.10
UCI I410-ECN-0102-2018-300-003925377

본 연구는 학급차원과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과 일반화 및 교사와 어머니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문제행동발생동기 평가척도(MAS), 설문지, A-B-C 관찰기록으로 직접관찰,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는 학급 전체 학생의 행동변화는 사전-사후 설계로 개별 학생의 행동변화는 행동간,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삶의 질과, 교사, 어머니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 설문지를 이용하여 삶의 질의 변화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문제행동의 감소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사람과 장소의 변화에도 일반화가 되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활동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활동참여행동의 증가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사람과 장소의 변화에도 일반화되었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생과 교사, 어머니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후속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생의 이후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 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와 대상 학생의 주관적 판단을 통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wide and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to quality of problem behavior, task engagement, general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quality of life of teacher and mother. Collecting data used MAS, survey, direct observation through A-B-C observation record, and function evaluation on problem behavior. The research design used pre-post design, multiple probe subjects design among behavior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to quality of life of students, teachers and mothers, the study collected changes of quality of life using questionnaire, and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class-wide and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wa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intellectually 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The reduced behavior was maintained stably, and was generalized in changes of people and place. Second, i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ask engagement of intellectually 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maintained stably and was generalized in changes of people and place. Third, it posed positive effects to quality of life of students, also to teachers teaching them in school, and mothers who live with them at home. The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 of it is expected that a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rancing research on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to the future life of students, a research examining the effects of subjective judgment of subjects on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