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82.105
18.222.182.105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학생 목표설정과 자기결정행동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Goal Setting and Experiences to Learn Self-Determined Behaviors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박윤정 ( Park Youn Jung ) , 서효정 ( Seo Hyojeong )
DOI 10.35361/KJID.20.2.2
UCI I410-ECN-0102-2018-300-004028446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이 설정한 목표의 특성 및 학생이 스스로 보고한 자기결정행동에 대한 학습경험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지적장애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주력하는 목표의 내용과 범주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카이검증으로 분석(연구문제 1)하고, 지적장애학생들이 자기결정행동 하위기술을 학습한 경험 및 자신의 선택에 대한 반응(연구문제 2)을 기술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스스로 혹은 교사의 지원을 받아 자신의 목표를 진술할 수 있는 110명의 지적장애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 변인(학교 급별, 성별, 장애정도, 문제행동, 교육배치환경) 중에서 학교급 변인만이 목표의 범주(처리중심, 결과중심)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생의 성별에 따라 지적장애 학생이 기술한 목표의 내용(비학업적, 학업적)의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지적장애학생들이 경험한 자기결정행동의 하위기술 학습경험을 분석한 결과, ① 주변인이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고 용기를 준적이 있다는 응답, ② 학교생활 중 학생 스스로 필요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배운 적이 있다는 응답, ③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배운 적이 있다는 응답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반면, ① 과제 수행 시 완성 여부를 점검하는 것, ② 과제 완료 후 칭찬 및 보상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 ③ 스스로 목표를 세우는 것을 배운 경험은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goals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t, as well as to explore students’ experiences to learn self-determined behaviors at schools. Specifically, we performed chi-square analyses to examine proportional differences in goal contents and categories based on individual variables of study participants(Research Question 1). We were also interested in descriptive analyses to explore how muc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learned self-determined behaviors at schools and how they felt after making choices based on their preferences(Research Question 2). A total of 11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can express their opinions independently or with support fr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among participants’ individual variables(grade, gender, disability severity, challenging behaviors, education placement), grade variable was the only factor that contributed to significant proportional differences between goal category(process-oriented vs. result-oriented). In addition, students’ gender was the variable that impacted goal content(non-academic vs. academic) proportions. Second, when descriptively analyz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to act self-determined behaviors, many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did not have learning experiences in following items: ① I learned how to monitor the completion status after finishing tasks; ② I learned how to compliment or reinforce myself; ③ I learned how to set goals independently. Based on study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