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5.239
18.191.5.239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 유·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Analysis of Trends & Qualitative Indicators of Single Subject Study for Communication Improving of Young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송미정 ( Song Mi-jung ) , 이혜숙 ( Lee Hea-suk )
지적장애연구 20권 2호 91-115(25pages)
DOI 10.35361/KJID.20.2.5
UCI I410-ECN-0102-2018-300-004028411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8년 4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지적장애 유·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증진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논문들의 동향 및 질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지적장애 유·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의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18편이었으며, 연구동향 분석기준은 연구대상, 연구방법, 중재방법, 중재목적으로 대분류하였고, 질적 지표는 Horner 등 (2005)의 7가지 질적 지표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3-4명, 경도의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선별도구는 15종류가 사용되었으며,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PRES)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대상자간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지적장애 유·초등학생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그림어휘력검사(PPVT)가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은 교실에서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와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적용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회기는 11-20회, 중재지속시간은 21-30분이 가장 많았다. 중재목적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바람, 의견, 행위 또는 인식, 허락을 요구하는 기능과 표현하기 위해 표정, 몸짓 등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Horner 등(2005)의 질적 지표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자 및 정보 기술, 종속변수, 독립변수, 기초선, 실험통제 및 내적타당도, 외적타당도, 사회적 타당도 등 7가지 전 영역이 대체적으로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유·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에 대한 논의와 과학적 증거기반실제에 기초한 향후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comprehensively based on 18 single subject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8 to April 2018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communication enhancement of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study subjects, study design, Intervention method, Intervention purpose. And the analyses of qualitative indicators wa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the Horner, et al(2005).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Mostly, the number of objects was 3 to 4 persons who were at school age and had mild disability in terms of severity. For the screening tools,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was found to be used most commonly. The study design used most widely was based on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the subjects design, and the Picture Vocabulary Test (PPVT) was use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method was enforced environment - based language intervention and sup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lication in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the classroom. Intervention session was 11-20 times and intervention time was 21-30 minutes.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 was to perform the functions that hope, opinion, act or recognition permission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to perform expression, gesture, etc. Second, Horner et al(2005) analysis of the qualitative indicators showed that all seven domains were satisfactorily included: subject, the number of objects, Intervention method, Intervention purpose, baseline, experimental control and internal validity, ex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for the communica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