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85.180
3.137.185.180
close menu
KCI 등재
이야기 산출 과제에 나타난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구어 및 문어 특성
Spoken and Written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in Storytelling
서다희 ( Seo Da-hee ) , 김화수 ( Kim Wha-soo )
지적장애연구 20권 2호 183-210(28pages)
DOI 10.35361/KJID.20.2.9
UCI I410-ECN-0102-2018-300-004028375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구어 및 문어 특성을 알아보려는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D대학교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성인 10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 10명의 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산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 간 이야기 문법과 구문 특성 차이를 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 지적장애 성인은 이야기 전체 문법 능력을 나타내는 이야기 문법 총점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평균을 보였다. 이야기 문법 하위분류의 ‘계기사건’ 산출에서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이 일반학생에 비해 다소 높은 평균을 나타냈으며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구어 및 문어 모두에서 ‘내적반응’이 낮은 산출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이야기 문법 하위분류의 산출빈도와 순서에서는 기존 연구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반응에서는 ‘배경’보다는 ‘계기사건’과 ‘결과’에 대한 산출이 더욱 부각되었다. 이는 다른 연구들과 상이한 연구 도구와 그에 따른 내용 차이로 해석할 수 있겠다. 구문 특성에서는 구어 및 문어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이 일반학생보다 낮은 단어 산출 능력을 보였다. 그러나 C-unit당 평균 낱말 길이(MLCw)는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집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문 오류 유형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은 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오류가 나타났으며, 접속과 기타 오류는 문법 사용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모두 구어 상황에서의 이야기 산출보다 문어 상황의 이야기 산출이 취약하였으며, 이는 모든 학생들이 쓰기를 말하기보다 어려운 과제로 여기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구어 및 문어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두 양식을 통한 언어 및 의사소통 교육을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dult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the results of storytelling using short animations of 1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0 students with language age. Th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tory grammar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ult group and the general student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lower overall average score than the general students in the story grammar total, indicating the total grammar ability of the story. In the calculation of the 'Initiating Event’ of the story grammar sub-category, th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a somewhat higher average than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Internal Response' was low in both groups. The frequency and sequence of story grammar sub -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The frequency and sequence of story grammar sub -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In other words, in the response to the animation used as a tool of this study, the calculation of ‘Initiating Event’ and ‘Results’ was more important than ‘Setting’. This can be interpreted as different research tools and different contents. I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word-processing ability than the general students in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However, the mean word length per C-unit (MLCw) was similar to the group with language age matched.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the most prominent errors in the syntax errors type, and the connection and other errors were analyzed to have low grammar usage. Finally, in both groups, the storytelling of the written situation was weaker than the storytelling in the spoken situation. This suggests that all students regard writing as a more difficult task than spe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firmed the necessity of different approaches to language and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two form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부록 Ⅰ> 연구 도구 ‘애니메이션’ 타당도 설문지
<부록 Ⅱ> 이야기 산출 과정에 나타난 이야기 문법 내용 및 분류
<부록 Ⅲ> C-unit의 정의 및 구분 규칙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