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3.37
3.131.13.37
close menu
KCI 등재
중학생의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 연구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How Do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Mode’s Informativity? ―Using Eye-tracking Device
서혁 ( Suh Hyuk ) , 한지수 ( Han Jisoo ) , 편지윤 ( Pyun Jiyun ) , 변은지 ( Byeon Eunji )
UCI I410-ECN-0102-2018-700-003751286

이 연구는 디지털 문식 환경에서의 양식의 기호적 쓰임에 주목하여, 디지털 원주민에 해당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과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국어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학생이 무엇을, 어디까지를 양식으로 인식하는지, 각 양식에 대한 친숙도와 전략적 활용 수준이 어떠한지 등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을 양적, 질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자나 내레이션 등 언어 정보가 명료하게 전달되는 양식을 의미구성에 있어 핵심적인 양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양식의 의미 작용을 읽어내는 수준에 있어 양식 간 상당한 편폭을 보였는데, 색깔의 경우 하나의 양식 내에서도 색깔의 쓰임에 대한 관습화 정도에 따라 의미화하는 수준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론적 논의에서와 다르게 벡터라든지 레이아웃과 같이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하는 양식들의 쓰임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논의는 의미 작용의 기제로서 양식에 대한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 학생들의 양식에 대한 이해와 그 활용 양상을 면밀히 살피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ymbolic use of mod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aims to deri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by examining the level and aspect of perception about “mode’s inform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digital natives. We examined the aspect of perception of informativity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 that clearly communicates the language information such as “the written language” and “the narration” tended to be perceived as the core mode in the meaning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reading the meaning of the modes showed significant deviations between modes, and the color showed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ustomization of the use of color, even in a single mode. Unlike the theoretical discussion, students tended not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use of mod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structures, such as vectors and layouts. The above discussion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on modes,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follow-up study to examin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ts usage about modes.

I. 서론
II.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분석
V. 논의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