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67.149
18.224.67.149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어문』 7학년 어휘의 계량 연구
Quantitative Study of the 7th Grade “Joseon Eomun” Vocabulary
임칠성 ( Im Chilseong )
UCI I410-ECN-0102-2018-700-003751322

이 연구는 『조선어문』 7학년의 어휘 분포를 빈도별, 품사별, 어종별로 살피고 그 결과를 남한과 북한의 그것과 비교했다. 빈도별 분포에서 볼 때, 『조선어문』은 ‘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우리’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조선어문』이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엄마 : 어머니 : 어머님’의 빈도 비교와 오래된 농업 어휘의 사용 등을 통해 조선족이 정착 당시의 언어를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사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의 교육 내용이 북한보다는 남한의 교과서와 비교적 비슷한 수준이라고 확인하였다. 어종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은 남한이나 북한보다 한자어의 비율이 높은 대신 고유어의 비율이 낮고, 북한어와 함께 오래된 고유어, 한자어 어휘들이 많다. 이런 어휘 분포는 조선족이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어권 내에서 정착 당시의 언어들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Joseon Eomun vocabulary distribution of the seventh grade by frequency, parts of speech, and lexical type,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in the South and North. In its frequency distribution, Joseon Eomun shows a strong tendency toward ‘individualism’. By compar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ree words for mother “eom-ma : eo-meo-ni : eo-meo-nim” we can see that Joseon Eomun is the language of past times. Unlike South Korean or North Korean textbook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eo-meo-mi” is higher than that of “eom-ma” in Joseon Eomun. In terms of distribution of the parts of speech,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of Joseon Eomun is relatively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n textbook rather than that of North Korea. For each lexical type distribution, Joseon Eomun has a higher ratio of Chinese characters than that of South Korea or North Korea, a lower ratio of native languages, and higher number of old Chinese words and phrases that are common with North Korean. This distribution of vocabulary shows that the Chinese ethnic Koreans have inherited the language from the time they settled down.

I. 연구의 배경
II. 계량 자료와 계량 방법
III. 어휘의 분포
I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