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8.21
3.128.198.21
close menu
KCI 등재
충북 영동군 광업노동요 <쌍맹이질소리>와 <목도소리> 연구
Study on laber folk song < Ssangmaeng-ijilsoli >, < Mogdosoli > at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이상희 ( Lee Sang-hee )
영주어문 39권 113-141(29pages)
DOI 10.30774/yjll.2018.06.39.113
UCI I410-ECN-0102-2018-700-003738638

이 글은 충북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에서 전승하는 광업노동요 <쌍맹이질소리>와 <목도소리>를 대상으로 한다. <쌍맹이질소리>는 광부가 갱도 안에서 쇠메로 형석을 깨며 부른 노동요이고, <목도소리>는 갱도 안팎에서 깬 형석을 목도로 나르며 부른 소리로, 2목도소리와 4목도소리가 채록되었다. 광업노동요를 부른 전승자는 광산업에 종사한 주민으로 현재 고령층이다. <쌍맹이질소리>와 <목도소리>는 갱도 주변에서 광업노동을 하며 부른 무형자산으로서 가치를 지니며, 노동의 효율과 노동자의 단합을 위해 단순한 사설 구성과 단선적 음 구조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사설은 서사를 이루지 못하는 미적 구조를 보이지만 노동요 특유의 작업 내용, 노동자의 행동 지시 등이 직접적으로 표현된다. 가락과 음의 변화 또한 단순 반복적 노동의 특성에 맞춰 구성한다. 음의 변화는 노동 환경에 따라 긴장감과 위기감을 주기 위한 고음 상승 구조와 사설 맺음과 이완 작용을 하는 저음 하강 구조로 나타난다. 영동군 광업노동요는 희귀자료로서 가치 보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광업노동요의 음 채보를 비롯한 음악적 연구를 근간으로, 가치 보존과 전승 두 측면을 고려한 연구까지 진행해야 한다. 광업노동요 전형을 정립하기 위한 방안은 전수조사와 정기조사 방식이 적합하다. 장기 계획을 수립해 전승자의 정기적 전수조사와, 채록되지 못한 부녀자의 노동요, 광업생활민속 조사, 관련 기록물 조사까지 확대 실시해야 한다. 조사한 자료는 서지, 이미지, 영상 등 디지털 자료로 전환해 항목별로 아카이브를 구축해 공유해야 한다. 자료 공유를 통한 문화대중성의 친밀감 형성은 전승 주체 확보를 위한 일환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mining laber folk song < ssangmaeng-ijil sol >, < mogdo soli > at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 ssangmaeng-ijil sol > is a miner's folk song broke the fluorspar. < mogdo soli > is miner's folk song, work that carries fluorspar around the tunnel. The devotee who called mining labor is a resident who is engaged in mining industry and is made up of old people. that folk song is It has value as an intangible asset called mining labor, For the efficiency of labor and unity of workers, it has characteristics of simple private construction and monotone sound structure. Although the editorial has an aesthetic structure that can not be narrated, the contents of work specific to labor and worker 's behavior instruction are directly expressed in the editorial. Changes in rhythm and tone also constitute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repetitive labor. The change of the sound is manifested by a high - rise structure for giving tension and a sense of crisi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 bass - lowering structure for performing private formation and relaxation. Mining labor folk song should be considered as a rare resource to preserve traditional values. For this, musical research including ministry of mining labor is essential.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reservation of values and tra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and conduct regular surveys of traders, expanding the work of uncollected women, mining folklore, and related objects. The research data should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in the form of bibliography, images, and images, and archives should be constructed and shared. The formation of the intimacy of the cultural masses of data sharing will function as part of the securing of the transcendent subject.

1. 서론
2. 광업노동요 형성 배경
3. 광업노동요 가창자와 노래
4. 광업노동요 가치 보존 방안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