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9.88
3.128.199.88
close menu
KCI 등재
사별경험 중년여성을 위한 애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Grief Therapy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Bereavement
양준석 ( Jun-seok Yang ) , 유지영 ( Ji-young Lyu )
상담학연구 19권 3호 293-312(20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8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애도와 성장을 돕기 위해 Stroebe와 Schut(1999)의 이원과정이론을 토대로 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사별 스트레스, 우울,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애도 프로그램은 상실감에 잘 반응할 수 있도록 돕는 상실지향 대처와 고인이 없는 새삶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회복지향 대처의 역동적인 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처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 프로그램 후,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시행하여 그 변화의 추이를 반복측정 ANOVA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애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별경험 중년여성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역경 후 성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집단 내의 시기효과 및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 비교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었으며,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원과정이론에 근거한 애도 프로그램의 상실지향 치료적 접근과 회복지향 치료적 접근이 효과가 있음을 논의하였고, 여전히 사별 경험을 밖으로 내놓지 못하는 사회문화적인 환경 속에서 집단을 통한 상담형태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애도 프로그램의 핵심요소인 심리교육, 이완기술, 정서조절기술, 고통의 수용, 의미재구성, 정의예식이 사별경험의 회복과 재적응, 성장을 위한 주요 치료기제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이를 구체화하고 매뉴얼화하여 사별 경험 대상자에게 유용한 팁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시하였다.

The grief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dual process theory(Stroebe & Schut, 1999) to help mourning and growth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grief therapy program on bereavement stress, depression, and post-adversity growth. The grief therapy program included the loss-oriented coping which helps responding to loss feelings, and the dynamic process of restoration-oriented coping which helps adapting to a new life without a deceased pers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through the repeated measure ANOVA 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11 participants respectively. Among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the bereavement stress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post-adversity growt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lso verified in the timing effect and comparison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the timing was also significan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approach emphasizing the dynamics of the mutual process between the loss-oriented coping and restoration-oriented coping is effective. In additi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and efficient in such a culture where the bereavement experience is not brought out. In this study, the core elements of the grief therapy program - psychological education, relaxation skills, affective modulation skills, acceptance of suffering, meaning reconstruction, and definitional ritual - were identified as the main therapeutic devices for restoration, reapplication, and growth of bereavement experience, the suggestion discussed providing useful tips for the bereaved by materialization and theorization in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