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40.177
18.116.40.177
close menu
KCI 등재
당본풀이로 당본풀이 읽기 -제주 <세화 본향당 본풀이>의 사례-
Sehwa Bonhyangdang Bonpuri as Examined through the Narrative Conventions of Dang Bonpuri from Jeju Island
정진희 ( Jeong Jinhee )
고전문학연구 53권 271-297(27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4202072

이 글은 제주 세화 본향당의 세 신격에 대한 본풀이 각각을 제주 당본풀이의 전형적, 유형적 서사에 견주어 살핌으로써 <세화 본향당 본풀이>를 당본풀이 서사의 일반성과 특수성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한 것이다. 세화 본향당의 본풀이는 본향당의 근본이 천잣도에 있음을 확인하는 <천잣도 본풀이>를 토대로, 입도 여신 백주의 좌정 서사를 통해 초월성을 지닌 외부의 여성 신격이 본향당신과 위계적 관계로 내부화되는 양상과 논리를 드러내는 <백줏도 본풀이>, 외부에서 축출당해 입도한 금상의 좌정 및 돗제 설행 서사를 통해 외부의 장수신을 수용하여 내부화하는 양상과 논리를 드러내는 <금상님 본풀이>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였다. 송당 본향당 본풀이와의 영향 관계에 천착해 온 선행 연구의 시야를 확장하여, <세화 본향당 본풀이>는 제주도 당본풀이의 일반적 서사 관습을 활용하고 변주하면서 신앙 대상의 확대에 따른 수용과 조정의 신화적 논리를 구성해 간 본풀이임을 주장했다. 제주 당본풀이의 일반적 서사 체계나 관습을 통해 개별 당본풀이를 읽을 때, 특정 당본풀이의 의미가 보다 잘 드러날 수 있음을 보였다는 데에서 이 글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Sehwa Bonhyangdang Bonpuri (stories or songs of the origins of the guardian deities worshipped at the Sehwa village shrine) in the context of both the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narratives of Jeju Island’s dang bonpuri (stories or songs of the origins of village guardian deities). It focuses on the bonpuri (stories or songs of the origins of deities) concerning the three deities worshipped at the Sehwa village shrine and examines these three bonpuri in comparison with both the typical and general patterns in the island’s dang bonpuri. The Sehwa Bonhyangdang Bonpuri consist of: Cheonjatto Bonpuri, which confirms that the origin of the Sehwa village shrine lies in Cheonjatto; Baekjutto Bonpuri, which, through a narrative of settlement by Baekju, a goddess who has entered the island, reveals the patterns and logic of the internalization of an external female deity imbued with transcendence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Cheonjatto already worshipped at the Sehwa village shrine; and Geumsangnim Bonpuri, which, through a narrative of settlement and performance of dotje (shamanic sacrificial rites where an entire pig is offered) by Geumsang, who has been expulsed from his original abode outside and entered the island, reveals the logic of the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of an external jangsusin (military general deity). The present study sees the Sehwa Bonhyangdang Bonpuri have been reorganiz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elief in dang (village guardian deities) based on the general narrative grammar of Jeju Island’s dang bonpuri. Contrastive discussions on other dang bonpuri from the island, which have received attention as special narratives, based on the general narrative grammar of dang bonpuri likewise are expected to be valid.

1. 서론
2. 각편 채록 양상과 선편의 문제
3. <천잣도 본풀이>의 전형성
4. 입도 여신의 좌정담과 <백줏도 본풀이>의 대비
5. 문국성형 장수신의 좌정담과 <금상님 본풀이>의 거리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