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02.167
3.144.202.167
close menu
KCI 등재
조선후기 문헌설화에 나타난 주체의 윤리적 위기의식과 책임의 문제
A study of ethical crisis and responsibility of the noble man(士) in late Joseon legends
홍나래 ( Hong Na-rae )
고전문학연구 53권 299-333(3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4202087

‘간통-용서-보은’의 서사구조는 조선시대까지도 궁중 나례에서 재현된 처용 이야기처럼, 간통 현장에서 용서를 택한 본부의 행동을 기리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간통-용서 서사에서 비난받던 인물을 심정적인 ‘나’로 초점화 한 이야기들이 조선후기 이야기판에 등장한다. 이때 간부인 선비는 자신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에서 적대적일 수밖에 없는 본부와의 관계를 풀어가야 했고, 본부의 용서 이후 윤리적 주체로서의 ‘나’를 재구성해야 할 과제도 안게 되었다. 선비가 만난 인물은 재력 있는 장부이면서도 사회에 들어오지 않거나, 신분이 낮지만 의롭고 성숙한 혹은 성공한 자들이었다. 이야기는 공동체 질서 밖으로 밀려나간 힘세고 반체제적인 인물의 생존 방식을 고민하거나, 하위계층의 성장을 기득권의 입장에서 예사롭지 않게 바라보고 있다. 선비들은 타자의 환대나 용서에 응하며 윤리적 주체로 성장하지만, 이야기마다 시각의 차이를 보인다. 선비들이 상대방과 동등한 인격적 관계를 형성하거나 차이를 인정하는 경우, 선비는 타자의 존재와 응시로 인해 위기감과 책임의 문제를 끊임없이 상기하게 된다. 그러나 후대로 갈수록 선비가 자신의 윤리로 상대방을 포섭하는 이야기들이 전승에서 다수를 차지하게 되는데, 반성과 고민을 멈춘 주체는 결국 계급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타자를 자기 기준으로 재해석하며 자기보존 욕망만을 강조하기에 이른다. 조선후기 이야기기판은 환대와 적대를 오가는 타자를 등장시켜 윤리적 주체인 선비와 타자의 관계맺음을 진지하게 고민했었고, 타자를 우선 생각하는 윤리적 관계맺음이 얼마나 쉽지 않은지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ssue of becoming an ethical subject in the late Joseon story. In particular, I examine the existence of ambiguous others,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with others. The research material is the legends that has a narrative structure that forgives and rewards about adultery cases. In Korean literature, adultery story has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 The story of Che-yong(處容) is the most famous for this structure, and it was performed at the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ory praises the husband’s forgiveness of adultery and drives out the adulterer. The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makes the adulterer the protagonist. Thus, the adulterer must communicate with hostile husband and be reconfigured as ethical human beings. The situation in the stories contained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period. So this themed stories worried about the problems of the strong man excluded from society. Also the stories were seriously looking at the growth of the lower class. Therefore many types of these stories were seeking answers to this question. Some of the main character who is the ethical subject(士) respected or acknowledged the others and seek coexistence with others. In these stories, the main character constantly reflected on himself and cared about responsibility. But as time goes by, the main character in some stories stoped to worry and to reflect himself, then the stories which is interpreting the others in his own way increased rapidly. The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seriously contemplated the ethical relationship with ‘Oneself’ by introducing the existence of Others. But it showed how difficult it was to have ethics that prioritize others.

1. 서론
2. 타자의 관용·환대에 대한 선비의 응대
3. 조선후기 설화 속 주체의 윤리적 위기의식과 타자에 대한 해석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