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35.203
3.146.35.203
close menu
KCI 등재
최한기 측인론에 따른 인물평가 척도 구성을 위한 예비적 연구
The preparatory research for the organization of person evaluation scale according to the Chek-in theory of Choe Han-ki
유가효 ( Yoo Ka-hyo ) , 이영찬 ( Lee Young-chan )
UCI I410-ECN-0102-2018-300-003970534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말기의 최한기의 인물 감평척도를 토대로 하여 오늘날 한국사회의 인물상 정립과 인성교육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인물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한기가 기술한 인물 평가범주들과 그 범주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항목들을 현대적인 의미의 진술문으로 변환하여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현대 고등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이 동양 정신에 기초하고 있는 인물평가척도에 어느 정도 동의하고 있는지 유교문화의 전통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조사하여 이 인물평가척도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양국의 대학생간에 다소 중요도 순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인물평가에서 중요시하는 범주가 덕성, 정신력, 행사이며 견문, 용모, 처지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특히 처지는 양국의 대학생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지가 환경적 조건으로서 개인의 성취에 현실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할지라도 바람직한 인물상의 평가요인으로는 동의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연구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은 인물 평가에 있어 타고난 고정된 요인이나 개인의 재능, 자질보다는 길러질 수 있는 도덕성과 도덕적 행위의 측면을 더욱 더 중요하게 생각함을 보여준다. 즉 ‘난사람’보다 ‘된사람’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물평가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이 젊은 세대에게도 여전히 유효함을 말해준다. 이러한 중요도 인식이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큰 편차가 없었다는 사실은 이 척도가 적용가능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연구 대상이 특정 지역과 대학생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최종적인 척도의 구성, 제작을 위해서는 대학생 외에 일반 성인들, 그리고 지역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preparatory study to develop a person evaluation scale based on Choe Han-ki’s person evaluation theory [Chek-in theory] that is useful in Korean society. For this, we extracted firstly several items which compose the person evaluation categories from Chek-in theory of Choe Han-ki, and made an empirical research for the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 translated to the contemporary usage.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both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regarded virtue of mind, mental power, upright behavior as important categories, and considered knowledge, appearance, and social condition as relatively unimportant ones. Particularly, both of Korean and Chinese collage students look upon social condition as least important. We could also find that the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tressed more on learned morality and moral behavior than natural gift and personal talent. In other words, they prefer ‘a moral person’ to ‘distinguished pers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traditional categories of person evaluation are still available to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fact that no wide variation existed in importance aware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 suggested to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is scale.

Ⅰ. 서 언
Ⅱ. 인물평가의 범주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