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158
18.118.1.158
close menu
KCI 등재
단청색의 정서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건축의 사회적 표현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emotional view of the Dancheong color
문정필 ( Moon Jung-pil )
UCI I410-ECN-0102-2018-300-003970529

오늘날의 정보화 사회에서, 단청이 칠해진 우리의 전통건축은 옛 권력이 상징화된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그 시대의 사회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또한, 현대도시 속 전통건축의 단청은 직설적인 시각적 관계의 색 뿐만 아니라 그 정서를 통해 전통건축의 창건 당시와 중건 또는 복원 할 때의 시점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사상의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통하여 폭넓은 정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전통건축물의 단청색은 오방색을 기본으로 한 동아시아의 포괄적인 문화로 단정 지어 흘려보내기 보다는 정보화 사회와 맞물려진 현시점에서 한국의 정서적 표현으로 확장될 수 있는 정보적 표현 의미를 논의할 때가 온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단청 색과 관련된 우리민족의 음양오행사상이나 자연 친화사상으로 변화무상하고 사람의 시각에 순응되는 색채의 취지를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색 문화를 통해 현대건축에 적용되어야할 공간과 시간의 융합적 표현 가치와 정보화 사회에서 지역성과 민족성의 유기적 통일감으로 조화되는 건축색채 정보의 사상적 가치를 현시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통건축의 단청색의 정서를 통해 역사 속에 만 머물고 있는 전통적 가치를 현대건축과 공존하여 새로운 정보로 표현 가능한 사회사상적 가치를 인식하고자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painted with Dancheong, korean traditional decorative colors are socials of the times as they show their symbolizations of old authorities with no change. In modern cities and architectures, succeeding to tradition means that we hav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thoughts in the time they were built, rebuilt and restored through various ideologies as well as direct and sensible visual relations. It is time to discuss the meaning of Dancheong colors' emotional instead of concluding it as a simple exposure of obangsaek, five colors of directions. The study will interpret a purpose of physiological color through Dancheong which vary to eumyang and ohaeng and five elements and a natural friendly life style of korean people and conform to visibility of a person and. It puts together how the emotion of our race takes place as the social ideology value through this color. The feeling expression of the color to be applied to the modern architecture and illustration tries to be discussed as the thoughtful value of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Dancheong emotion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not only stayed in history but also coexists with modern architectures in cities at this momen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its value in social thinking which can be reinterpreted by using new information.

Ⅰ. 들어가면서
Ⅱ. 단청의 색채해석
Ⅲ. 단청을 통한 한국인의 정서
Ⅳ. 단청색의 정서로 본 현대건축의 사회적 표현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