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4.104.173
3.134.104.173
close menu
KCI 등재
최한기의 기학과 인간 이해
Understanding of human based on Ki-hak of Choe Han-ki
이영찬 ( Lee Young-chan )
UCI I410-ECN-0102-2018-300-003970509

현대사회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천착해 들어가면 많은 부분 인간의 몸과 마음, 본성과 규범의 대립적 이원화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몸과 마음의 분리는 욕망과 이성의 분열을 초래하고 본성과 규범의 부조화는 개인과 사회 간의 부적응을 초래하였다. 최한기의 일기 일통적 철학에 근거한 기학적 인간관은 이러한 현대적 인간의 분열적 인간상을 극복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최한기 기학의 일통적 인간이해를 그의 몸과 마음, 본성과 인도에 대한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최한기의 기학을 기의 활동운화적 본성, 일신운화·통민운화·대기운화의 삼등운화, 인신교·인도교·인천교의 삼층교 등을 중심으로 기학적 인간이해의 철학적 토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몸과 마음, 본성과 인도가 기학의 체계 안에서 어떤 위상과 관계를 갖고 상호 통합되어 있는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기학적 인간관이 인물평가 범주 형성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하여 기학적 인간이해가 갖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최한기가 인간에 대해 윤리보다 물리를 중시하는 자연주의적 접근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는 성리학적 성·리를 모두 신기로 인식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탈윤리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둘째, 최한기는 기학의 일통적 철학을 통해 인간적 요소들 간의 대립적 이원성을 극복했다. 기학체계 안에서 몸과 마음, 본성과 인도는 모두 신기운화적 산물이며 이들 간의 대립적 이원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최한기의 인간관은 성리학과는 달리 몸의 존재성을 부각시킨 데 큰 의의가 있다. 그는 몸을 마음과 본성이 깃들어 존재할 수 있는 바탕으로 보고 있다. 마음과 본성이 몸을 억압함으로써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몸을 통해서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최한기의 인간관은 인물평가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의 인간관은 바람직한 정치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인물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질을 기학에 근거하여 새롭게 밝힌 것이라 볼 수 있다.

Exploring the social problems of modern society, we can find that many of them come from the opposite perspective between body and mind, and between human nature and social norms. While the separation of body and mind generated the conflict of reason and desire, the mismatch of human nature and social norms resulted in the disharmony of individual and society. Choe Han-ki’s view of human based on the monism of Ki suggests many implications for overcome this split human image of modern society. This paper aimed to examine Choe Han-ki’s monistic view of human of Ki-hak system. For this, we examined the philosophic bases for Ki-hak’s view of human by understanding the natures of Ki, which are ‘vital(活)’, ‘active(動)’, ‘moving(運)’, and ‘changing(化)’, and the three dimensions of Unhwa (movement and change of Ki)(三等運化), composed of ‘body(一身)’, ‘people(統民)’, and ‘atmosphere(大氣)’, and the three dimensions of education(三層敎) for ‘person(人事)’, ‘society(人道)’ and ‘nature(人天).’ After that, we inquired the position and relation of body and mind, and nature and norms, and how they are integrated each other in Ki-hak system. Lastly, we looked into the influence of the Ki-hak's view of human for the formation of person evaluation categories. In conclusion, we could summarize the implications of the view of human of Ki-hak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in that Choe Han-ki emphasized naturalistic approach for human more concerning with physical law than moral norms. Second, Choe Han-ki could overcome opposite dualism both between body and mind and between human nature and social norm by virtue of the monistic philosophy of Ki-hak.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Choe Han-ki's view of human brought about the enhancement of sense of existence of body. Lastly, Choe Han-ki's view of human has a great significance for providing new perspectives for person evaluation.

Ⅰ. 서 언
Ⅱ. 기학적 세계관
Ⅲ. 기학적 인간관
Ⅳ. 기학적 인물 평가
Ⅴ. 맺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