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42.168
3.147.42.168
close menu
KCI 등재
소외된 인성의 길 찾기: 유교와 불교의 인성개념을 중심으로
Finding a way for alienated humanity: centering on the notion of human nature foun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김보경 ( Kim Bo-kyoung )
UCI I410-ECN-0102-2018-300-003970332

본 글은 현재 인성교육의 법제화와 함께 그동안 합의되고 인정된 인성 개념이 부재했다는 것에 대한 반성과, 그 반성을 딛고 새롭게 제시할 인성 개념을 위해 유교와 불교의 인성론에 대한 고찰을 담으려 하였다. 유교와 불교의 인성논의에서는 서구 근대의 세계관에서의 개인주의적이고 독립적인 인간과는 다른 관계를 통한 인간됨을 이뤄야 함을 강조한다. 유교의 인간은 대우주의 이치를 담고 있는 소우주적 자아이며, 불교의 인간은 완전한 인격을 전제로 하는 불성(佛性)적 자아이다. 인간은 본성적으로 완전함의 가능을 내재한 존재이긴 하지만 완전함에 근접한 정도는 개인마다 다르며 인간은 그 불완전성을 현실에서 관계를 맺는 모든 것을 통해 보완하고 완전함으로 나아간다. 전체 없는 나는 없으며, 나 없는 전체도 없는 것이다. 인간이 완전함을 내재한다는 관점의 인간관은 인성교육의 내용을 인간의 본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세부 방법의 수립으로 이어지게 한다. 교육의 내용은 유, 불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을 밝혀내고, 삶 속에서 실천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인성교육은 무명(無明)에 빠지기 쉬운 인간의 의지를 연마하고 단련하는 문제인 동시에 오랜 기간 반복적인 실천을 통해 생활화, 습관화하는 문제이며 그 지향점은 본성의 회복, 자아 발견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다. 유. 불교에서는 각각의 역사 속에서 인성교육 방법이 다양하게 행해져 왔다. 그들 공부방법과 수행방법의 고찰은 새로운 인성 교육의 방법 개발에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다. 이미 교육현장에서는 전통 속에서 행해졌던 이들 방법이 접목되고 있기도 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flects on the lack of an agreed upon notion of humanity within the community, and reviews the notions of humanity foun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so as to establish a new notion of humanity. The discourse on humanity foun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both of which take a monistic and organic view of the world, suggests an image of people that differs from the prevailing worldview in the modern West. It emphasizes the need to be a rightful man based on relationships. While man in Confucianism is defined as a microcosmic ego in which the logic of the great universe is embedded, man in Buddhism is viewed as a Buddhist-natured ego premised on a complete personality. Although man is a being in which completeness has been naturally embedded, the proximity to such completeness differs across individuals. Man moves towards completeness by supplementing his incompleteness through actual relationships. There is no me without the entire world, and there is no entire world without me. The view of completeness being embedded in man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measures from which the nature of man can be derived based on the contents of humanity education. These contents of humanity education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humanity suggeste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 practical analysis in one’s everyday life. Humanity education is designed to cultivate and improve the will of man, which can easily fall into darkness, while at the same time transforming will into one’s daily habits through prolonged and repetitive practice. Humanity education is as such oriented towards the recovery of human nature and the discovery of the self. Various humanity education methods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 in-depth considera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study and training methods foun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may suggest novel idea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new humanity education. Traditional methods have been applied at actual education sites. In this regard, continuous research will be needed on this subject.

Ⅰ. 머리말
Ⅱ. 소외된 인성의 길 찾기
Ⅲ. 새로운 인성개념 확립을 위한 유. 불교의 인성론 모색
Ⅳ. 유. 불교 인성개념의 가치와 인성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