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7.103
3.144.187.103
close menu
KCI 등재
조직 내 갈등관리와 불교상담심리학의 과제
Conflict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ask of the Buddhist Counseling Psychology
박수호 ( Park Su-ho )
UCI I410-ECN-0102-2018-300-003970170

현대 사회에서는 갈등의 발생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그만큼 갈등관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갈등관리는 조직적 사회적 차원에서는 통합을 지향하지만, 개인적 차원에서는 고통의 완화와 치유를 목표로 한다. 이와 관련해 최근 들어 일고 있는 힐링 열풍 속에서 명상과 요가,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와 같은 맥락 속에서 이 논문은 불교상담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고, 불교상담이 조직 내부의 갈등을 관리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 논의를 통해 개인적 차원에서만 논의되는 불교상담의 한계를 극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II장은 조직 갈등을 중심으로 갈등과 갈등관리에 대한 기존 논의를 개괄적으로 정리해 소개하였다.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조직내에서 갈등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 조직 내 갈등의 유형과 그 영향, 주요 갈등관리의 방법과 특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III장에서는 불교상담과 관련된 기존 논의의 흐름을 종합하여 상술하였다. 주요 내용은 불교상담의 등장배경과 정의, 특성, 연구동향 등이다. IV장에서는 심리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검토되기 시작한 불교상담이 여전히 심리치료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고, 조직 내 갈등관리 방안으로서 불교상담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전체 내용을 요약한 후, 이 논문의 의미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은 불교상담의 범위를 개인적 차원에 국한하지 말고, 조직적 혹은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 내 갈등 관리의 방법으로 불교상담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불교상담이 단순히 갈등을 해소하는 효과만 거두는 것이 아니라 조직 자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또한 종교적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일반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적 갈등의 해소와 잠재적 갈등의 예방이라는 갈등관리의 두 차원 모두에서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In modern society there is growing potential for conflict and also growing much need for conflict management. Conflict management aims to integrate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o alleviate the pain and the healing in personal level. In recent year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meditation and yoga,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 about the Buddhist counseling, and Buddhist counseling can play a role in managing conflict within the organization. I hope this discussion will be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Buddhist counseling only discussed in the individual level. The order of paper as follows. Chapter 2 is an introduction to conflict around the organiz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Chapter 3 summarize definition, the appearanc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unseling, the research trends. Buddhist counseling started to discus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sychotherapy. But still not escape from areas of psychotherapy. Chapter 4 was criticized on that point and discussed potential of the Buddhist counseling as a conflict management methods within the organization. Finally, a summary of the discussions was then describes the meaning and limits of this paper. It is argued in this paper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Buddhist counsel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at it must extend to organizational or societal level.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paper reviewed Buddhist counseling can play a role in managing conflict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uddhist counseling can be a means to resolve conflict and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organization. Also, it has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eyond the limits of religions and is confirmed that appears effective in both dimension of conflict resolution and prevention.

Ⅰ. 문제제기
Ⅱ. 갈등에 대한 이해 : 조직 갈등과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Ⅲ. 불교상담의 개괄적 이해
Ⅳ. 갈등관리 방안으로서의 불교상담의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