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7.198
3.142.197.198
close menu
KCI 등재
유교윤리의 기원과 보편성: ‘아버지 살해’와 ‘억압된 것의 회귀’
‘Murder of the Father’ and ‘Return of the Oppressed’ in the Case of Confucian Origin of Morality
김상준 ( Kim Sang-Jun )
UCI I410-ECN-0102-2018-300-003970165

프로이트는 윤리의 근원을 ‘억압된 것의 회귀’에서 찾고, 그 억압된 것의 기원을 ‘아버지 살해’라는 추정적 사건에서 찾았다. 이 글은 그러한 시각을 유교 윤리의 탄생 시점에 적용해 본다. 역사적 자료로는 로터 폴켄하우젠과 유리 파인의 고고학적, 인류학적, 문헌학적 성과를 주로 참조하였다. 추적과 분석의 결과, ‘억압된 것의 회귀’의 의미는 달라진다. 공자의 윤리적 사고와 태도 속에서 나타났던 ‘회귀했던 무엇’은 프로이트가 말한 ‘아버지 살해’에 대한 자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었다. ‘살해대상이 되는 아버지=폭군’의 존재 자체가 없었던, 보다 오랜 과거의 평등했던 사회 상태로의 회귀 충동이었다.

This essay attempts to apply Freudian idea of the ‘return of the oppressed’ and ‘murder of the father’ to the case of Confucian origin of morality. Works of Lothar Faulkenhausen(2006) and Yuri Pines(2002) upon the origins of Confucian moral codes provide main materials for this analysis, which revises Freud’s view that human morality originated from the permanently recurring repents upon the unconscious memory of ‘the murder of the father.’ What was oppressed and thus returned in the time of Confucius was not the oppressed unconscious of ‘murder of the father.’ Rather, it was the recurring impulse (Trieb) to turn back to the egalitarian state of the human society in the past when there was no king=father to murder.

Ⅰ. 문제와 방법
Ⅱ. ‘아버지 살해’와 유교윤리
Ⅲ. ‘述而不作’에 담긴 뜻
Ⅳ. 서주후기 의례개혁(1차 의례개혁)
Ⅴ. 춘추중기 의례재편(2차 의례개혁)
Ⅵ. 1, 2차 의례개혁과 『논어』의 세계: 계승과 돌파
Ⅶ. 결론 : 유교윤리의 고유성과 보편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