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0.1
3.149.250.1
close menu
KCI 등재
라이프로깅(Life-Logging) 시대의 자아 변화에 관한 소고
Life-Logging and Changing Nature of Self
정지연 ( Jeong Ji-yeon ) , 김문조 ( Kim Mun-cho )
UCI I410-ECN-0102-2018-300-003971955

이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접점에 놓여있는 자아에 대한 라이프로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 배경과 논문 내용을 소개하는 서론에 이어 (1) 라이프로깅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파장을 웨어러블 기술과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2) 라이프로깅으로 인한 자아의 변화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진단한 후, (3) 그로부터 라이프로깅 시대의 자아에 관한 총체적 동향과 특성을 추론하고, (4) 라이프로깅의 확산으로 변모하는 자아로부터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응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라이프로깅 시대의 자아는 다양한 수치로 정량화되고, 모든 일상이 상세히 기록되며, 많은 사람이나 사물들과 접속되고, 투명성을 더해가는 데이터 환경에서 감시받으며, 흘러넘치는 정보로 과잉 상태를 견지하며, 끊임없이 견주어 평가되면서, 연결 상태에서 고립되어가는 정량적·기록적·연결적·감시적·초과적·평가적·격리적 속성을 띠어간다. 일차적으로 이격화(離隔化) 및 외연화(外延化)라는 양대 논제, 최종적으로는 외부화(外部化)라는 단일 테제로 축약할 수 있는 자아의 성격 변화를 외재화-객관화-내면화라는 변증법적 순환과정을 거쳐 생활세계가 구성된다는 P. 버거와 T. 루크만의 사회구성론적 도식에 의거해 총괄적으로 규정한다면, 라이프로깅 시대의 자아는 ‘객체화(客體化)’ 되어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 세 가지 문제가 심각한 도전과제로 대두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는 주체적 자아가 객체화의 힘을 감내해내지 못해 개인 주체성이 소실되는 인간성 상실 문제요, 둘째는 신체적 행위가 기술과 접합되어 기능으로 변모하면서 외적 자극이나 신호에 기계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물상화 문제이며, 셋째는 투명성을 강조하는 후기-프라이버시(post-privacy) 단계에서 파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생활 침해 문제이다.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은 라이프로깅이라는 블랙박스의 외곽에서 맴도는 방관적 자세를 지양해 기술에 대한 존재론적 우위를 확보하는데 진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nature of self caused by the diffusion of electronic life-logging and explore the socio-cultural issues rising from the very process. Self in the life-logging are characterized as being quantified, recorded, connected, monitored, oversaturated, evaluated and segregated. In light of the dialectical model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suggested by Peter Berger and Thomas Luckmann, those characteristics would be generalized into the theme of objectification. Given the considerations, three issues will be identified as serious social problems; loss of individual subjectivity, reification of human body and privacy invasion in a high transparency society. In order to cope with such problematics, we need to actively step into black-box and try to capture the ontological initiative that enable us to manage the growing social-cultural impact of life-logging.

I. 서론
II. 라이프로깅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파장
III. 라이프로깅으로 인한 자아의 변화상
IV. 라이프로깅 자아의 총괄적 동향과 특성
V.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