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89
3.135.183.89
close menu
KCI 등재
신용하의 민족사회학: 독창적 한국사회학의 전범
Shin, Yong-Ha's Sociology of Nation: An Ingenious Classic of Korean Sociology
유승무 ( Lew Seung-mu ) , 최우영 ( Choi Woo-young )
UCI I410-ECN-0102-2018-300-003971859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신용하’의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바로 ‘민족사회학’이다. 신용하의 사회학적 관심과 대상은 처음도 끝도 ‘민족’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신용하의 민족사회학에 대한 비평적 소개와 함께 그 의의와 쟁점들을 다룬다. 그는 6.25 동족상잔의 비극을 경험한 뒤 민족에 대해 눈을 뜨게 되고, 이후 줄곧 민족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사회학자의 연구는 자기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가장 정열적이고 독창적일 수 있다는 믿음이 신용하 민족사회학의 근간을 이룬다. 아울러 한국사회학이 아직 구미사회학의 수입과 소화에만 급급해 ‘민족’을 학문적 차원에서 다루지 않고 있음을 우려한다. 그의 민족사회학에 대한 관심은 주체적인 한국사회학의 발전에 대한 희망과 다르지 않다. 신용하의 민족형성이론에 의하면, 한국 민족은 서구의 그것처럼 근대의 구성물이 아니라 고대로부터 수 천 년을 관통해온 한국사의 핵심적 실체이다. 이러한 원原민족론은 이른바 서구 근대의 민족국가(nation-state) 논의와는 궤를 달리하며, 한국을 포함한 서구 외 국가들의 연구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용하는 이러한 논의를 단지 추상적, 선험적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고고학, 인류학적 자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개척해나간다. 여기에 실사實事와 구시求是라는 그의 독특한 방법론이 상호 연결되어 보다 완성된 연구결과를 산출하고 있다. 한국 민족에 대한 인간적 사랑과 학문적 관심, 우리 자신에 대한 주체적 복기와 성찰, 그러면서도 철저하고도 엄밀한 실증적 확인과 검증, 이러한 노력들이 어우러져 오늘의 신용하 민족사회학을 낳은 것으로 보인다. 그의 민족사회학은 한국사회학의 귀한 전범이며, 싫든좋은 동학과 후학들이 대면(혹은 대결)하지 않을 수 없는 큰 관문임에 틀림없다.

Shin Yong-Ha is a representative sociologist in Korea. His study is generally called 'sociology of nation' because he has been doing research on Korean n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sociology during life. This article covers the outline, peculiarities and issues on his 'sociology of nation'. According to his theory of nation-building, Korean nation is not a modern outcome unlike the 'nation-state' in western history, but an obvious reality leading to the ancient or primitive society in Korean history. This new and alternative perspective of nation is especially useful for the study of Third-world countries because those societies have had their own identities and concepts of nation distinct from those of western societies. Shin has been doing his unique research not on abstract/a-priori dimension but empirical footing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evidences. Shin's 'sociology of nation' consists of normative expectation, autonomous recollection/introspection and strict/empirical verification for Korean nation. Definitely, it is a valuable classic of Korean sociology and huge gateway unavoidabl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nation and nation-related issues in the field of sociology.

Ⅰ. 서론
Ⅱ. ‘신용하 민족사회학’의 민족형성이론
Ⅲ. 신용하의 실증연구: ‘한국민족 기원과 원민족 형성’의 사례
Ⅳ. ‘신용하의 민족사회학’, 의의와 토론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