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63.90
18.219.63.90
close menu
KCI 등재
『노자』와 탈현대 교육의 설계
Lao-Ze and the Design of After-modern Education
정재걸 ( Jung Jae-geol )
UCI I410-ECN-0102-2018-300-003971819

이 논문은 노자의 아이디어를 빌려 탈현대교육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것이다. 탈현대교육과 현대교육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준거는 피부경계선을 기준으로 그 안쪽을 ‘나’로 여기는 ‘피부 밑 자아’, 즉 에고를 진정한 나로 간주하는가 여부이다. 현대교육은 피부 밑 자아를 진정한 나로 여겨 에고의 확장을 위한 노력을 교육의 핵심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탈현대교육에서는 이러한 에고의 소멸을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탈현대교육에서는 에고의 소멸을 통해 비로소 본성이 발현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탈현대교육에서의 아동의 본성은 무위(無爲)를 통해 발현된다. 이때의 무위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작위 없이 행위하는 것을 말한다. 무위에 의한 행위는 탈현대교육의 핵심 개념으로 이러한 무위를 통해 아이들은 무지(無知)에 이르게 된다. 이때의 무지란 아무 것도 알지 못한다는 뜻이 아니라 앎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말한다. 앎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아동은 비로소 진정한 나를 경험하게 된다.

This thesis aims to design the after-modern education from the idea of Lao-ze. The after-modern educa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modern education by the demolition of skin-boundary by which the modern education can make the skin-encapsuled ego. When the skin-boundary was disappeared then the nature of the children began to appear. The after-modern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by un-doing(無爲) that is not mean doing nothing but doing something without intention. The doing without intention is the key word for the after-modern education. By doing without intention the children can reach to the knowing-nothing(無知) that doesn't mean the ignorance but the freedom from the knowledge. By the freedom from the knowledge the children can experience the Self(참나).

Ⅰ. 수레를 헤아리는 교육
Ⅱ. 경계의 해체
Ⅲ. 본성의 발현
Ⅳ. 무위無爲의 교육
Ⅴ. 무지(無知)에 이르는 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