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94.152
18.216.94.152
close menu
KCI 등재
원효의 화쟁일심 사상과 한국 마음문화의 사상적 기원
Won-Hyo’s Thought of HwaJaengIlsim and the Philosophical Origin of the Culture of Maum in Korean Society
유승무 ( Lew Seung-mu ) , 신종화 ( Shin Jong-wha ) , 박수호 ( Park Su-ho )
UCI I410-ECN-0102-2018-300-003971768

이 논문은 한국사회 마음 문화의 기원을 찾기 위해 마음 사상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담고 있는 불교 사상가 중에서 원효의 화쟁일심 사상에 주목하였다. 원효의 화쟁일심 사상을 마음 사상의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첫째, 원효 사상의 핵심은 마음에 있으며, 마음을 삶의 문제와 연관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원효는 명실상부한 마음사상가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일심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원효의 화쟁사상을 통해서 마음이 합심성을 가지고 있으며, 셋째, 루만과의 비교를 통해서 마음의 수행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 마음 문화의 사상적 기원이 원효의 화쟁일심 사상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focuses on Won-Hyo’s thought of HwaJaengIlsim (和諍一心) among Buddhism thinkers, whom developed wide and fruitful discourse on Maum (心) thought, in order to find the origin of the culture of Maum in Korean society. Looking at Won-Hyo’s thought of HwaJaengIlsim as the frame of Maum thought, authors arrive at some interim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t is Maum that the core of Won-Hyo’s thought. Won-Hyo must be a Maum thinker in that he links Maum to the problematique of life. Second, Maum has the characteristics of Hapsim (合心, conheart). Authors identify this through the study of Won-Hyo’s thought of HwaJaengIlsim developed with the help of the concept of Ilsim (一心, Grand-One-Heart). Third, Maum has its own conductibility. For this, Authors compare Won-Hyo’s thought on Maum to Luhmann’s system theory. Conclusively, with this paper authors suggest that one intellectual origin of culture of Maum goes back to Won-Hyo’s thought of HwaJaengIlsim.

Ⅰ. 들어가는 말
Ⅱ. 원효의 생애와 마음 개념의 위상
Ⅲ. 원효의 화쟁사상과 일심(한마음)
Ⅳ. 화쟁(일심)사상의 합심적 특성
Ⅴ. 원효 그 후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