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10.213
18.118.210.213
close menu
KCI 등재
건축의 시간성에 대한 주역 해석의 보완
A Complement to the Interpretation of I-Ching About the Time of the Architecture
문정필 ( Moon Jung-pil )
사회사상과 문화 27권 143-176(34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1622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건축에는 공간과 같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 ‘시간’이라는 명제이다. 그러나 건축에서 시간개념은 공간처럼 강력한 이론적 기반을 가지지 못했고, 건축 디자인에서도 건축가들이 시간을 공간만큼 큰 비중으로 두지 않으며, 건축가나 관찰자 모두가 시간개념으로 건축 디자인을 명쾌하게 해석하는데 적극적이지 않다. 건축에 시간을 미미하게 받아들이는 문화적 현실에서, 저자는 즈와트가 분류하고 정의한 세 가지 시간의 관점을 근·현대 건축의 형태와 공간에 접근시켜 인간에게 주어지는 감각·의식·의미적 해석을 이루어 실재적·상관적·관념적 이라는 건축의 세 가지 시간을 서양사상의 관점에서 선행연구로 도출하였다. 본고는 선행연구에서 건축의 시간 연구가 서양의 사상적·해석적 가치에 주력된 점을 감안하여 세 가지 시간을 ‘물리적 운동의 시간’, ‘사건 전·후의 계기적 시간’, ‘인간 기억의 중심적 시간’으로 풀어서 정립하고 주역사상에 내재된 ‘순환·변환·흐름의 변화’적 시간성을 각각 접근시켜 동양의 해석적 사고로 넓혀 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건축공간에 자연의 순환적 변화를 수용하는 물리적 운동의 시간’, ‘변환적 변화로 자연의 암시적 공간을 수용하는 사건 전·후의 계기적 시간’, ‘자연에 건축공간의 흐름으로 지속되는 기억중심의 시간’이라는 점에서 세 가지 시간 모두가 자연과 건축공간이 연속성을 이루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시대의 사회적 사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건축을 통해, 동양사상이 서양사상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동·서양에서 양립되어온 개별의 시간적 가치를 융합시켜 논의하고자하는데 의의가 있다.

Considering previously studied three kinds of time, ‘real time’, ‘relational time’ and ‘ideological time’, are focused on Western ideological and interpretational value, this study intends to widen the three kinds of time to Eastern interpretational ideology by interpretation of those three times as ‘physical movement time’, ‘momentum time before and after event’ and ‘human memory-centered time’. And also by approaching them with timek of ‘change of circulation, transformation and current’ that is implicit meaning from ideology of I-Ching.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all three tim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ity of nature and architectural space from the viewpoint of physical movement time that admits circulatory change of nature in architectural space, time of momentum before and after an event that admits suggestive space of nature by transformational change, and memory-centered time that architectural space continues change by transformation of current in na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exposing the fact that Eastern ideology immerged from modern ages is not the product of eastern response against Western ideology, but individual timely value coexisted in the east and west through architecture as a visual expression of society by fusing these two ideologies.

Ⅰ. 건축의 시간과 주역의 시간
Ⅱ. 선행연구: 서구사상에 의한 건축의 시간성
Ⅲ. 건축의 세 가지 시간성에 대한 주역해석
Ⅳ. 건축의 시간성에 대한 주역 해석의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