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187
3.135.183.187
close menu
KCI 등재
4·19혁명 전후 유교 계열 지식인의 동향
Confucian Intellectuals’ Perspectives during 4·19 Democratic Movement
이황직 ( Yi Hwang-jik )
사회사상과 문화 27권 177-220(44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1617

이 연구는 유교 계열의 지식인들이 4·19혁명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논증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 유교계는 부흥운동의 좌절과 정치적 시련 속에서 조직적으로는 붕괴되었지만 전통적인 유교 네트워크를 유지한 채 사회적 명망을 유지하고 있었다. 해방과 더불어 유교계는 김창숙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펼쳤고, 특히 임시정부 계열을 지지하면서 민족통합과 자주독립 노선을 분명히 했다. 단정 수립 후에도 계속된 이러한 노력은 6·25전쟁 기간의 인적 손실과 이어진 이승만 정권의 탄압에 의해 거의 붕괴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하지만 조직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김창숙 중심의 유교 네트워크는 유지되고 있었고, 여전히 유교 계열의 지식인들은 다양한 소집단 형식으로 잔존하면서 대의명분과 도덕성에 바탕한 재야 투쟁과 학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네트워크하에서 결속된 유교 계열 지식인들은 4·19혁명의 전개 과정과 결과에 상당히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들은 1950년대말을 기점으로 이승만 정권과 대립각을 분명히 한 채 4·19혁명을 맞이했고, 특히 교수단 데모는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교수단 데모의 기획과 주동에는 특히 김창숙 후원하의 성균관 네트워크와 독립운동가들의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는 참여자들의 결속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운동의 도덕성을 고양시키고 사회적 영향을 확산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끝으로 주요 참여자들의 내면적 동기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참여 동기와 실천 과정의 적극성을 이끌어낸 것은 유교적 가치였음을 분명히 입증했다. 이처럼 유교의 지성적·비판적 전통을 계승한 4·19혁명 과정의 대의의 관념과 실천이야말로 유교가 민주화와 민주주의 정치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 모범적 사례이다. 이러한 자료들이 축적될 때 유교 민주주의론은 담론을 넘어 현실적인 이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fucian democracy discourse has caused considerable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society during last two decades. Most scholars regard confucianism as a reactionary ideology for authoritative regime, on the contrary some regard it as a pro-democratic value for providing sources of thought to overcome the egoistic culture of Korean society. But nobody researches the Confucian strong contributions to democratize modern Korea. This thesis aims to explain how sincere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contribute to succeed April revolution in 1960 from the point of religious commitm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could preserve traditional networks despite governmental controls and oppressions during the First Republic. Secondly, Confucianism-based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leading writers contribute to organize ‘April 25th professors demonstration’ evaluated as decisive factor for success in ensuring hasty retreat of dictatorship. In conclusion, This thesis claims that Confucian democracy discourse debaters should give thought to empirical and historical documents further. Intensifying the interpretation on Confucian intellectual’s inheritances, We could make confucian democracy theories rooted deeply in Korean society.

Ⅰ. 4·19혁명과 의미 구성의 정치학
Ⅱ. 해방 이후 유교 계열 지식인의 상황
Ⅲ. 1950년대 유교 계열의 조직적 활동 방식과 그 영향력
Ⅳ. 4·19혁명의 전개와 유교 계열 지식인의 움직임
Ⅴ. 맺음말: 군자들의 행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