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209.95
18.225.209.95
close menu
KCI 등재
『주역』의 변통론과 율곡의 개혁사상
The Theory of Contrivance in I-Ching and Yulgok’s thoughts on Reform
이선경 ( Yi Suhn Gyohng )
사회사상과 문화 29권 75-105(3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1384

이 글은 율곡 사회개혁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주역』 변통론의 관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주역』의 변통론은 변역變易·불역不易·이간易簡 및 음양의 상보성이라는 구조와 방법을 지니며, 이는 율곡 사회개혁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개혁 주체의 문제를 해명하는데 적합한 틀이다. 율곡이 경장이라는 혁신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왕도정치의 실현이며, 개혁의 주체는 임금과 신하이다. 이는『주역』에서 변통의 목적이 도의 실현이며, 개혁의 주체는 현인·성인인 것과 같은 구조이다. 『주역』에서 도가 실현되는 방법은 대립된 음양의 상호작용을 통해서이며, 도의 실현내용은 네 계절이 끊임없이 변통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이로움이다. 이로움과 도는 대립관계가 아니다. 율곡이 개혁을 추진하는 방법적 특징인 ‘중도합의中道合宜’의 점진주의, 의義·리利의 상보성은 건곤음양의 상보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건괘 「문언전」에서는 리利란 의義와 조화를 이룬 것이라는 인식을 볼 수 있으며, 「계사전」에서는 ‘덕德’과 ‘업業’의 상호지향성을 말한다. 또한 율곡은 개혁의 성공여부는 결국 인간에 달린 것으로, 군주의 의지와 인재의 등용 및 운용이 관건이라고 본다. 이는『주역』의 변통론이 계절의 변화에서 변통의 모델을 구하고, 성인이라는 주체가 이를 현실사회에 구현한다는 이간易簡의 천지인 삼재사상을 제시하는 것과 닮아있다. 이와 같이 율곡 사회개혁사상의 이론적 근거를『주역』의 변통론에서 찾을 수 있는 근거는 충분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eoretical grounds of Yulgok’s thoughts on social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I-Ching. Yulgok’s view on reform is based on the theory of contrivance in I-Ching. In particular, the ways in which 義and 利 complement each other represent the core of I-Ching’s philosophy. In this respect, I turn to the theory of contrivance in I-Ching in explicating the objective and the methodology of Yulgok’s social reform, and the problem as to who should be the main body of the reformation in his theory. What he eventually aims to achieve via the social reform is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right[王道]. This is reminiscent of the fact that the objective of contrivance in I-Ching is the realization of the Way[道]. In I-Ching, the Way is described as the activity that vitalizes everyth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Yin[陰] and Yang[陽], which amounts to the way in which four seasons constantly interact to one another to yield benefits. This illustrates that the benefit and the Way are not in conflict. The methodology of Yulgok’s view on reform is characterized as the gradualism and the complementarity of the rightousness[義] and the benefit[利]. These characteristics are grounded upon the idea of QianKunYinYang[乾坤陰陽]. According to QianGua[乾卦], the benefit is considered to harmonize with the rightousness. In Great Appendix, the benefit refers to a complementary whole of virtues and deeds. Yulgok thinks that the success of social reform depends on the ruler’s will and how he or she appoints and manages talented people. This is similar to the how the theory of contrivance is modeled after the seasonal change in the universe, and how a sage actualizes such a model in real life in the theory of Samjae[三才]. From the aforementioned observations, I argue that there are sufficient grounds to think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Yulgok’s thoughts on social reform can be found in the theory of contrivance in I-Ching.

Ⅰ. 서론
Ⅱ. 변통의 목적과 사회개혁의 목표
Ⅲ. 『주역』의 변통법과 율곡의 사회개혁 방법
Ⅳ. 변통과 개혁의 주체: 君臣公治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