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84.90
3.17.184.90
close menu
KCI 등재
21세기 한국 청소년들의 삶의 목적과 사회: 개인과 사회의 상생
A Purpose in Life and Society for 21st century Korean Adolescents: Win-win for the Individual and Society
김두환 ( Kim Doo-hwan )
사회사상과 문화 30권 257-289(33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1182

이 논문은 오늘의 한국 교육이 대학이 요구하는 수학능력을 증명하는 표준화된 시험에 내몰려 있어 정체성 발달에 중요한 시기로 일컬어지는 청소년기에 삶의 목표와 가치에 대해 탐색할 수 없게 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청소년들이 목적을 세우지 못하고 표류하는 삶을 사는 문제의 심각성은 비단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해서도 제기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프로그램으로 ‘긍정적 청소년 발달 접근(Positive Youth Development approach)’을 주도하고 있는 윌리암 데이먼은 목적을 자신에게 의미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을 넘어선 세상을 위해 중대한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일반화된 의도로 정의한다. 이렇게 데이먼과 그의 동료 연구자들은 삶의 목적에 사회적 가치를 포함하는 중요한 성취를 보이고 있지만 청소년들에게 목적의 부재가 일어나는 원인을 어른들의 태만으로 보는 한계가 있다. 데이먼과 달리 로빈슨과 애로니카는 현재의 교육이 표준화된 인지능력에 초점을 맞춘 낡은 산업주의 교육모델에 바탕을 두고 있는 문제를 지적한다. 본 연구는 로빈슨과 애로니카가 말하는 교육의 탈바꿈, 즉 표준화를 버리고, 과목의 위계를 없애고, 교사의 권능을 회복함으로써 아이들의 다양한 소질과 재능에 복무하는 개인화교육이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속적 변화를 경험하는 현대사회에서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융합의 시대를 살아갈 자라나는 세대에게 목적으로서 사회적 삶의 가치가 긴요하다는 윌리엄 데이먼의 주장이 교육의 탈바꿈에 반영되어야 하고 그것은 개인과 사회의 상생의식을 부여하는 극기복례와 공감의 가치로 구체화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research raises a question if today’s Korean adolescents have room for exploring a purpose overarching their whole lives. In fact, they lack such room because adolescents in Korea have been forced to spend most of their time for securing a good standardized test score required for university admission. The problem of adrift adolescents without a sense of purpose in life has also been brought up by William Damon who is now leading Positive Youth Development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William Damon defines purpose as ‘a stable and generalized intention to accomplish something that is at the same time meaningful to the self and consequential for the world beyond the self.’ This definition lades a purpose in life with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as a critical element. Damon diagnoses the main cause of adolescents’ drifting as the neglect of adults who know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However this diagnose missed the point raised by Robinson and Aronica who point out that the education model of industrial society which focuses on standardized cognitive capacity is now largely outdated and destroying our children’s inborn creativity. To make situation changed, this research agrees with Robinson and Aronica’ in that what we need is not the reform of education but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The transformation includes phasing out standardized curriculum, adjusting too much weight on particular subjects such as mathematical, linguistic or scientific cognition, and relinquishing centralized control of education to teachers actually meeting children in classroom. In sum, the transformation will make our education individualized enterprise rather than standardized one and will serve for full development of today’s adolescents in their diverse intelligence, talents and interests. This transformation of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out delay because today’s social world experiences accelerating change owing to digital technology. But the era of convergence being led by digital technology also requires young people to develop a purpose in life laden with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as Damon emphasizes. To develop our adolescents imbued with the value of the social, this research proposes that we should teach the virtue of ‘Restrain yourself and Return to the rites (克己復禮)’ and empathy as specifying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in a purpose in life.

Ⅰ. 들어가는 말
Ⅱ. 청소년의 발달과 삶의 목적
Ⅲ. 목적의식과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에 관한 연구
Ⅳ. 꿈을 꺾는 엄마의 역설과 창의성의 조건
Ⅴ. 산업주의 시대 모델에 머물러 있는 교육과 학교, 그 한계
Ⅵ. 사회적 가치로서 목적: 개인에서 사회로
Ⅶ.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