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39.150.247
34.239.150.247
close menu
KCI 등재
사주(四柱)이론들의 사회사적 배경 연구 시론
An Essay on the Background Research on the Social History of the Theories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四柱, Saju)〃
김두규 ( Kim Du-gyu )
UCI I410-ECN-0102-2018-300-003974214

이 논문은 다양한 사주이론의 내용이나 그 특징을 추적하려 함이 아니고,왜 특정 사주이론이 특정 시대에 출연하였는가를 추론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사주이론들의 형성ㆍ발달사를 추적하다보면 그것이 다름 아닌 동시대 문제에 대한 해석과 해결을 위한 대응논리였음을 엿보게 한다. 현대의 사주이론은 당과 송대 사이,즉 ‘오대십국(五代十國)’의 약 60년간 (907-960년) 사이에 그 초기적 모습을 갖추었다. 이 시기는 수많은 무인 정권들이 패권을 겨루는 혼란의 시기였다. 춘추전국시대나 위ㆍ진ㆍ남북조 시대보다 분열의 시기가 훨씬 짧았으나,앞의 시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생산력과 인구증가로 인해 천하를 제패하려는 영웅호걸들의 권력 의지 또한 더욱 강하였다. 누구나 실력(무력과 재력)과 운만 좋으면 장군이 될 수 있고 나라를 창업할 수 있다는 분위기였다. ‘오대십국,이란 바로 그러한 대표적 ‘군벌,들의 시대였다. ‘군벌,들과 풍수와 사주를 내세우는 음양가들의 만남은 서로가 서로를 요구하는 자연스러운 만남이 되었다. 송대에 사주이론이 완성된 것은 송대가 정치이념으로 취한 유교,특히 그 가운데 성리학과의 밀월 덕분이었다. 한대의 동중서(董仲舒)가 유가와 음양가를 고리로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을 정치이념으로 제시하였다. 정자(程子)ㆍ주자(朱子)에 의해 거듭난 신유학이 성리학이다. 성리학은 하늘{天}을 이(理)로 규정하고,이(理)는 인간에게 있어서는 성(性)으로 보았다. 인간의 도덕의식{性}과 하늘(자연)의 법칙{理}과의 일치 즉 천인합일을 주장하였다. 자연의 보편적 법칙을 유비적(類比的)으로 개인과 국가가 체화(體化)한다는 점에서 성리학은 사주를 좋은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성리학의 대가 주자뿐만 아니라 당대의 유학자들과 사대부들이 사주에 깊은 관심을 보였던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였다. 몽고족이 세운 원나라 때 사주이론이 그리 발전하지 못한 반면,원나라를 멸하고 들어선 명대에 다시 흥하게 되었던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나라는 유교문화와 유학자들에 대해서는 혐오감을 보인 반면,불교의 일파인 라마교와 도교의 일파인 전진교를 신봉하였기에 사주가 수용될 수 없었다. 송ㆍ원ㆍ명ㆍ청 그리고 고려와 조선에 특정 사주이론들(5대 고전으로 불리는 주요 텍스트)이 수용된 배경을 사회사적 관점에서 추적하고자 함이 이 논문의 핵심내용이다.

This paper is not an attempt to track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various theories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四柱, or Saju in Korean).” Rather, it is an attempt to infer why certain Saju theories appeared in certain eras. Track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ju theories, one realizes that they were logical reactions to the contemporary issues that tried to interpret and resolve them. Modern Saju theories attained their initial forms in the 60 year period of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五代十國, A.D. 907-960) between the Tang (唐) and Song (宋) Dynasties. This was a period of confusion, when a countless number of military regimes vied for supremacy. Although the period of division was shorter than those of the Spring and Autume Period (春秋戰國) and the periods of Jin dynasty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roductivity and population grew incomparably. Thus, there existed a stronger will of military heroes to win over the world. Anybody with a (military and financial) capacity and a little bit of luck could become a general and found a country.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was a period of typical “warlords” as such. “Warlords” and Yin-Yang scholars who advocated Saju naturally ended up requiring each other. The completion of Saju theories in the Song dynasty was possible thanks to Confucianism that the dynasty adopted as a ruling ideology. The meeting between Saju and Neo-Confucianism deserves a special credit. Dong Zhongshu from Han dynasty (漢)proposed the theory of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s a political ideology, linking Confucianism with the Yin-Yang theory. Neo-Confucianism is a new form of Confucianism regenerated by Chengzi and Zhu Xi. Neo-Confucianism defined Heaven (天) as a truth (理), and a truth (理)for Man was his/her nature(性).“The unity of Heaven and “The unity of Heaven and Man (天人合一)” was a unity of human morality (性, nature) and the laws (理)of the sky (nature). Neo-Confucianism could utilize Saju as great means, as it advocated that individuals and nations analogically (類比的) accumulated (體化)the general laws of nature. For this reason, not only Zhu Xi, a master of Neo-Confucianism, but also other contemporary Confucianists and men of noble family showed a deep interest in Saju. This fact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Saju theories did not develop as much during Yuan Dynasty, founded by the Mongolians, but regained its strength in Ming dynasty. Yuan dynasty showed an aversion against the Confucianist culture and scholars. Rather, they followed Lamaism, a school of Buddhism, and Quanzhen School of Taoism, and Saju was not accepted. This paper focuses on the social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cceptance of certain Saju theories (its major texts called the Five Classics) in Song,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and further, in Koryo and Joseon dynasties.

Ⅰ. 서론
Ⅱ. 사주이론 전사(前史): 새로운 왕조를 정당화시켜 주는 도구로서의 음양오행설
Ⅲ. 사주이론의 형성과 그 배경
Ⅳ.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