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76.7
18.117.76.7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사회의 ‘유연한 젠더레짐’과 사회불평등구조: ‘상호교차성 이론’의 한국사회 적용가능성
The ’Flexible Gender Regime’ and Unequal Social Struc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 The Applicability of ‘Intersectionality Theory' to Korean Society
김미경 ( Kim Mi-kyong )
UCI I410-ECN-0102-2018-300-003974209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사회의 불평등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독일 페미니스 사이에 이루어진 상호교차성 이론에 대한 논의가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이 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검토 해보고자 한다. 다문화 되어가는 한국사회의 불평등구조를 상호교차성 이론을 통해 ‘양극화 속의 다층화’ 현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본 논문은 ‘복지레짐’ 하에서의 신가부장적 젠더질서가 변화하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 속에 있다. 2001년 이후 여성부의 설립과 함께 본격화된 여성정책이 양성평등 정책으로 패러다임 전환하는 과정에서 형식적 평등사상이 지배적인 사회 담론이 되면서 ‘유연한 젠더레짐’으로서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유연한 젠더레짐’ 논의의 연장선에서 다문화된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틀로서 독일 내부에서 진행된 상호교차성 이론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고전적 사회학의 관점에서 계급과 성에 기초한 지배,피지배 관계로만 불평등구조를 분석하기에는 지구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보다 다층 적인 불평등 구조에 상호교차적으로 직면해 가고 있다. 상호교차성 이론이 설명해주는 것은,사회는 갈수록 포함과 배제로 양극화되어가고 있고 그 양극화 속에서 또한 매우 다층적으로 상호교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This paper aimed to examine if the discussion of intersectionality theory between German feminists about the unequal struc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could become a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In the process, it paid attention to the complexity of inequality and the multiple structuralization of social inequality. This paper aiming to understand the unequal struc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multiculturalized as a ‘multi-layered hierarchy within the polarization’ through the intersectionality theory is in the context to understand the aspect of neo-patriarchal gender order's change under the ‘welfare regime’. Since 2001,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the process of when women's policies are evolved to gender equality policies, as the formal idea of equality becomes a dominating social discussion, it is moved to the ‘flexible gender regime’. As one of the diverse socio-structural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change to this ‘flexible gender regime’ is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t examined the utility of the discussion of intersectionality theory performed in Germany, as a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the unequ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extension of discussion of ‘flexile gender regime’. In the global era, it is not good enough to analyze the unequal structure through the controlling-controlled relationship based on class and sex in the aspect of classical sociology as we intersectionally face the multi-layered unequal structure. The intersectionality theory explains that society is polarized into inclusion and exclusion, and within the polarization, it is multilaterally crossing over.

Ⅰ. 문제제기
Ⅱ.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Ⅲ. 다문화 사회의 불평등과 젠더질서의 변화
Ⅳ. 상호교차성 이론의 한국사회 적용을 위한 시도
Ⅴ. 맺음말: 한국에서 상호교차성 논의의 수용 가능성과 한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