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12.220
18.221.112.220
close menu
KCI 등재
식사와 사회적 연대: ‘함께 먹기’의 감정사회학
Meals and Social Solidarity: Emotional Sociology of ‘Eating Together
박형신 ( Park Hyong-shin )
UCI I410-ECN-0102-2018-300-003972614

우리는 일반적으로 함께 먹기가 사회적 연대를 창출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것은 전제되었을 뿐 그러한 연대가 만들어지는 사회 동학과 감정동학은 연구되지 않았다. 또한 함께 먹기는 연대가 아니라 불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먼저 함께 먹기가 어떻게 연대를 형성하는지를 식사와 ‘먹기 공통체’의 특성과 감정구조를 통해 파악하고, 식사 공동체의 확장과정을 통해 그것의 작동양식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는 식사 공동체의 확장 메커니즘으로서의 식사초대 속에서 나타나는 이율배반을 통해 불화의 발생과정을 감정사회학적으로 탐구한다. 세 번째 로는,그러한 식사 중의 불화가 초래하는 불편함의 탈출방식으로서의 혼밥과 소셜 다이닝에 작동하는 감정양식을 분석하고 그 감정적 한계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결론에서는 함께 먹기의 감정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감정 성찰하기를 넘어 감정 승화하기를 제안한다.

Usually, it has been thought that ‘eating together’ creates social solidarity. However, this has been only assumed as a fact so far but indeed is not considered its social and emotional dynamics making up such solidarity. Eating together also gives rise to discords not bonds. Firstly, this article examines how eating together builds up a sort of solidarity in terms of the features of meals and ‘eating communities’ and their structure of emotions, and then analyses how it operates within the expansion processes of meal communities.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sociology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es of occurrence of discords in terms of antinomies happening at dinner parties as the expansion mechanism of meal communities. Thirdly, this paper tries to analysis the styles of emotion of eating alone and social dining regarded as the ways of escaping from inconvenience resulted from discords during dinner, and discusses their emotional limit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subliming emotions beyond reflecting emotions are required as a way to overcome emotional problems issued from eating together.

Ⅰ. 머리말
Ⅱ. 식사 행위의 사회학
Ⅲ. 식사공동체의 감정구조와 감정동학
Ⅳ. 식사 초대의 이율배반: 믿음과 ‘탈’믿음의 감정동학
Ⅴ. 혼밥과 소셜 다이닝: 자기 찾기와 자기 확인 사이에서
Ⅵ. 맺음말: 감정 성찰을 넘어 감정 ‘승화’시키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