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37.35
3.146.37.35
close menu
KCI 등재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실천적 재해석: 월주의 사례 이해를 위하여
The Practical Re-interpretation on the Teaching of the Buddha : for understanding the case of woljoo
조명자 ( Jo Myung-ja )
UCI I410-ECN-0102-2018-300-003972609

붓다의 가르침은 ‘진리’와 이를 구체적인 현장에서 실천하는 방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현장에서 실천하는 방편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을 논문에서는 보편성, 상대성, 개인성, 사회성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붓다가 이해한 고통은 개인의 고 통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회고와 시대고로 확대된다. 때문에 붓다의 가르침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 지속적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예를 부파불교 시대에 민중과 호흡하며 발생한 대승불교, 삼국의 혼란기에 민중에 의해 선택되고 해석된 미륵신앙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관점에서 한국사회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는 노력으로 월주를 제시하고 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첫째, 월주의 실천적 재해석은 기존 한국불교의 근본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시작한다. 깨달음 중심, 수행 중심, 줄가자 중심에 의문을 제기하고 중생구제와 그 구체적 목표로서 뭇 생명의 이익과 행복을 근본가치로 재해석하고 있다. 둘째, 월주는 불교의 목표를 실천적으로 해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출가’로 대표되는 불교의 종교적 형식을 실천적 차원에서 모든 불자에게 적용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불교의 오래된 관행을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월주는 보살행을 모든 불자의 의무로 규정 하고, 일 반사회의 사회 복지 활동과 시민사회 활동으로 확장하여 재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실천적 재해석은 한국불교의 모습을 선수행 중심에서 수행과 보살행으로서의 사회참여로 전환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The teaching of Buddha is composed the Truth and the means to practice the teaching in a society, and that means includes personal dimensions and social dimensions. In this paper, these contents are summarized four characteristics as universality, rel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ity. The pains understood by Buddha is not bounded the pain of Individual, expanded to the social pains and the era pains. In this reason, the teaching of Buddha continuously is re-interpreted according to era and society. For example, these re-interpretation are confirmed through the Mahayana Buddhism which emerged in the era of eighteen schools with the desire of the people, and the Maitreya faith which chosen and interpret by people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From this perspective, woljoo’s Buddhist thought is presented as the attempt to re-interpret the teaching of Buddha in Korea, and summarized that contents. First, the woljoo's practical re-interpretation is originated from the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of Korean Buddhism. He questions Enlightenment centrism and Zen centrism, monk centrism, and re-interprets ‘all life’s benefits and happiness’ as fundamental values as salvation of the masses and its specific goal. Furthermore he converts the religious form of Buddhism such as ‘becoming & monk’ into the content to apply to all lay Buddhist. This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old custom of Korean Buddhism. Finally, he defines mercy as the duty of all Buddhists, and re-interprets mercy as social work activity and civil society activity. This is an attempt to transform the image of Korean Buddhism Zen performance centrism into a balance between performance and social participation.

Ⅰ. 들어가며
Ⅱ. 붓다의 가르침의 형식적 특성과 실천적 재해석의 필요성
Ⅲ. 실천적 재해석의 역사적 사례
Ⅳ. 월주의 실천적 재해석
Ⅴ.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